한국수출입은행이 SK E&S의 호주 바로사 가스전 관련 금융지원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사진은 바로사 가스전 모습. /사진=SK E&S 제공
한국수출입은행이 SK E&S의 호주 바로사 가스전 관련 금융지원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사진은 바로사 가스전 모습. /사진=SK E&S 제공


한국수출입은행이 SK E&S가 추진하는 호주 바로사 가스전에 대한 금융지원을 연장한다. 호주 원주민과의 갈등으로 일부 사업 인허가가 중단된 상황에서 SK E&S가 자금 부담을 덜게 됐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수은은 SK E&S에 지원했던 3억3000만달러(4300억여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연장하기로 이날 결정했다. 지원 기간은 오는 11월까지다. 수은은 지난해 5월 SK E&S 바로사 가스전에 금융지원을 한 뒤 같은 해 11월에 이어 올해 5월에도 지원 연장을 선택했다. 액화천연가스(LNG) 안정적 확보 등을 위한 결정이었다는 게 수은 관계자 설명이다.
[단독] 한숨 돌린 SK E&S… 수은, '바로사 가스전' 금융지원 연장


수은의 금융지원 연장으로 SK E&S는 바로사 가스전 사업 부담을 덜었다. 해당 사업은 탄소포집저장(CCS) 기술을 적용해 저탄소 LNG를 생산하는 게 핵심이다. SK E&S는 바로사 가스전에서 생산한 저탄소 LNG를 블루수소 사업에 활용할 방침이었으나 현재 원주민들과의 협의 문제와 현지 의회의 제도 강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태다.

바로사 가스전 사업은 지난해 6월 사업장 인근 티위 제도 원주민들이 낸 공사 중지 가처분 신청으로 인해 일부 멈췄다. 원주민들은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의가 불충분했다고 주장했고 현지 법원 1심은 지난해 9월 시추 인허가 무효 결정을 내렸다. 항소심 재판부도 지난해 12월 인허가 무효 걸정을 재확인하는 판결을 내렸다. SK E&S와 함께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호주 에너지기업 산토스는 문제 해결을 위해 현지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의를 진행 중이다.


호주 현지 의회가 통과시킨 '세이프가드 매커니즘'이 바로사 가스전의 수익성을 악화시킬 것이란 관측도 나온 바 있다. 해당 법안은 바로사 가스전을 포함한 LNG 수출 사업의 경우 사업 첫날부터 온실가스 배출 넷제로(탄소 순배출량 0)로 맞춰야 하는 게 골자다. 호주 싱크탱크인 '호주연구소'는 세이프가드 매커니즘으로 인해 최대 9억8750만호주달러(약 8500억원)의 추가 비용이 들 것으로 전망했다.

SK E&S 관계자는 "자원개발 PJT에 있어서 국책금융기관들의 PF는 반드시 필요한 절차 중 하나"라며 "수은이 면밀히 판단하고 내린 결정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CCS 관련 비용이 이미 사업성 평가에 반영돼 있어 세이프가드 매커니즘 법안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