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태문 삼성전자 MX 사업부 사장. /사진=삼성전자
|
삼성전자는 차세대 폴더블폰 갤럭시Z플립·폴드5를 발표하는 갤럭시 언팩을 7월 말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다고 지난 6월7일 밝혔다.
회사는 "대한민국은 삼성전자가 세계적인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며 그동안 일궈낸 역동적 성장의 태동이 시작된 심장부"라며 "삼성전자의 미래를 이끌 철학과 비전의 원천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2010년 3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시작된 갤럭시 언팩은 그동안 미국 뉴욕과 샌프란시스코, 영국 런던, 독일 베를린, 스페인 바르셀로나 등 세계 주요 도시에서 열렸다. 단순히 신제품을 선보이는 것을 넘어 모바일 산업의 새로운 혁신과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삼성전자가 올해 하반기 언팩을 국내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한 것은 새롭게 발표하는 폴더블폰에 대한 자신감 때문이다. 폴더블폰 종주국으로서 국내 개최도 무리 없다는 판단이다.
국내 시장의 영향력과 중요성도 주효했다. 한국은 전체 스마트폰 중 폴더블 스마트폰의 판매 비중이 지난해 기준 13.6%(카운터포인트리서치, 수량기준)로 전 세계에서 폴더블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삼성전자는 한국을 중심으로 폴더블폰 대중화가 점화된 후 세계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본다.
개최 시기를 예년보다 앞당긴 것은 갤럭시Z플립·폴드5를 조기 출시해 모바일 사업 성과를 확실히 가져가겠다는 복안이다. 최근 폴더블폰 시장은 중국 제조사들의 뛰어들면서 경쟁이 치열해졌는데 이를 기술적 우위로 극복하겠다는 포부다. 앞서 노태문 사장은 "자사가 개척한 폴더블폰 시장이 이제 스마트폰의 주류 기종"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폴더블폰에선 독보적 입지를 구축했다. 2019년 폴더블 제품을 처음 선보인 이래 매년 폴더블폰의 완성도를 높이고 시장을 키웠다. 구글마저 삼성의 기술적 완성도를 따라가지 못해 준비하던 폴더블폰 계획을 접었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폴더블폰은 삼성'이라는 공식을 정착시킬 방침이다. 삼성그룹의 기대를 짊어진 노 사장이 폴더블폰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