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수 경남지사가 12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부산-경남 행정통합 여론조사 결과 발표에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사진=경남도 제공
박완수 경남지사가 12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부산-경남 행정통합 여론조사 결과 발표에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사진=경남도 제공


"부산·경남 행정통합, 도민 뜻에 따르겠다"

박완수 경남지사가 12일 부산·경남 행정통합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박 지사는 이날 종전의 행정통합 추진에 대한 강한 의지에서 한발 물러선 입장을 취했다. 이는 '부산-경남 행정통합' 여론조사 결과, 반대가 45.6%로 찬성 35.6%보다 높게 나타난 것에 따른 것이다.


이날 경남도와 부산시는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부산-경남 행정통합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후속 계획에 대한 공동입장을 밝혔다.

여론조사는 2차에 걸쳐 진행됐다. 1차는 경남도 주관으로 지난 5월 29일부터 6월 1일까지 경남도민 1008명, 부산시민 1003명 등 2011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 결과 찬성 35%, 반대 45%로 나타났다.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는 ±1.5%p다.


2차 조사는 부산시 주관으로 지난 6월 5일부터 9일까지 경남도민 1014명, 부산시민 1000명 등 2014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찬성 33.6%, 반대 45.0%로 집계됐다. 신뢰수준 95%, 표본오차±1.5%p로 나왔다.

특히 행정통합 논의를 인지하고 있다는 응답이 30.6%에 불과하고 '들어본 적 없다'는 응답이 69.4%로 나타나 공론화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행정통합 찬성 이유는 수도권 집중에 대응해 국가균형발전이 가능하다는 응답이 56.4%로 가장 높았고 반대 이유는 통합의 필요성이나 당위성이 적다는 응답이 50.5%나 됐다.

12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부산-경남 행정통합 여론조사 결과 발표가 열렸다./사진=경남도 제공
12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부산-경남 행정통합 여론조사 결과 발표가 열렸다./사진=경남도 제공


경남과 부산시는 행정통합 추진 논의를 인지하고 찬반 의견을 판단하는데 필요한 안내와 홍보 등의 노력이 미흡했음을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인식 확산을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했다.


또 시도민의 인식과 여건 성숙을 위해 기존 협력하던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광역인프라 구축에 더욱 속도를 내고 문화관광, 보건·복지 등 삶의 질과 관련된 협력과제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협력하고 교류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부울경 경제동맹의 협력사업을 다각화 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해 나갈 수 있도록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날 오전 출범한 부울경 정책협의회를 중심으로 부울경 초광역권 발전계획에 포함될 사업들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3개 시도가 한 목소리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부울경이 한 가족이 돼 수도권과 이극체제를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양 시가 1년 가까이 노력했다"며 "부산-경남 행정통합의 대전제는 양 시도 700만 주민의 뜻으로 알고 앞으로 그 뜻을 받들며 공동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