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한 방송사의 연애 프로그램에서 화제가 된 출연진의 사투리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의 힘을 빌렸다. 네이버가 최근 공개한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 기반의 대화형 서비스 '클로바X'에 질문하자 곧바로 "'답답하고 화가 난다'는 의미의 경상도 방언"이라는 답이 나왔다. 오픈 AI의 '챗GPT'는 같은 질문에 "다른 사람에게 성공이나 행운을 빌어주는 이탈리아어"라는 오답을 내놓았다. 이를 통해 네이버의 클로바X가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더 특화된 AI로서의 능력을 강조한 것이 분명해졌다.
네이버가 지난 8월24일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하면서 AI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앞서 시장을 이끌던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한국 시장 확장을 천명하면서 네이버는 등장 직후 주도권을 노려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구글에 내주고 있는 네이버의 검색 점유율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한번 뺏긴 주도권을 되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국내 검색 및 포털 서비스를 독점하고 있는 네이버가 뒤늦게 출사표를 던진 AI 생태계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선 안간힘을 써야 할 것이다.
토종 AI는 등장하자마자 '내수용' 비판에 직면했다. 서비스 통합을 통해 외부 애플리케이션(앱)까지 영향력을 확대하는 오픈 AI나 구글에 비해 국내 파트너사에 한정된 서비스를 예고했기 때문이다. 네이버는 이를 의식한 듯 위한 글로벌 진출 계획도 언급했지만 구체적인 청사진이 명확하지 않다. 네이버가 지금까지 선보인 서비스나 사업에는 늘 '내수용' 꼬리표가 따라다녔다. 검색이나 지도 등 서비스가 해외 진출과 현지화 전략보다는 국내 영향력을 기반으로 한 사업 확장과 수익화에만 몰두한다는 지적도 받았다.
AI 시장은 다르다. 국내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글로벌 시장을 정조준하는 전략이 있어야만 경쟁에서 앞서나갈 수 있다. 네이버가 영어와 일본어 영역에서도 노력하고 있다고 했지만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는 이는 드물 것이다. 현재까지는 여행·쇼핑·예약·결제 등 네이버 내외부 서비스와의 연동 계획 등만 구체화했을 뿐 글로벌 니즈 대응엔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서다.
네이버를 포함해 다수의 국내 기업이 생성형 AI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이 형국은 '다윗과 골리앗의 전투'에 비유된다. 주목할 점은 비유되는 싸움의 승자가 몸집도 작고 힘도 약한 다윗이었단 점이다. 다윗은 자신만의 무기 '돌팔매'를 이용해 체급 차이가 크게 난 골리앗을 지혜롭게 상대해 이겼다.
지금 상황에서 네이버도 다윗의 돌팔매가 필요하다. 막대한 자본을 갖춘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전략을 그대로 답습해서는 경쟁에서 승산이 없다. 한국어 특화 모델을 앞세웠다면 확실하게 내수 시장을 잡은 뒤 이전 사업과는 다른 이론과 모델로 해외 진출 전략을 세워야 한다. 다윗의 돌팔매 없이는 해외시장을 휘젓는 골리앗을 상대로 한 싸움에서 승기를 잡을 수 없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