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력공사 신임 사장으로 선임된 김동철 전 국회의원. / 사진=뉴시스DB
|
19일 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전날 전남 나주 본사에서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김동철 전 국회의원을 제22대 사장으로 선임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김 전 의원은 광주 광산구에서 4선(17∼20대)을 지낸 국회의원 출신이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20대 국회에서는 바른미래당과 국민의당에서 원내대표 등을 맡았다.
2002년부터 1년 간 청와대 정무수석실 정무기획 비서관을 역임했으며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 캠프에 합류한 뒤 인수위에서 국민통합위원회 부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창립 62년째인 한전이 정치인 출신을 CEO로 맞이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 전 의원에 앞서 한전을 이끌었던 정승일 전 사장은 산업부 제1차관과 가스공사 사장 등을 역임한 에너지 전문가이지만 임기내 한전의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데 대한 책임을 지고 지난 5월 사임했다.
한전의 적자는 글로벌 에너지 가격 인상 등으로 전기요금 인상 요인이 발생했음에도 요금을 올리지 못한 영향이 가장 컸지만 정 전 사장이 문재인 정부 때 임명된 인사란 점에서 여권을 중심으로 사퇴압박이 이어지자 백기를 들었다.
김 전 의원은 금명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제청을 거쳐 윤석열 대통령이 임명을 재가하면 한전 사장으로 최종 임명된다. 사장 임기는 3년이며 직무수행 실적 등에 따라 1년 단위 연임이 가능하다.
김 전 의원의 최우선 과제는 천문학적인 수준의 빚을 해결해 한전의 경영을 정상화하는 것이다. 한전의 빚은 올해 상반기를 기준으로 201조4000억원이다.
한전은 재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주요 건물 매각, 임직원 임금 반납 등 고강도 개선작업을 통해 2026년까지 25조7000억원 규모의 자구책을 이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김 전 사장은 이같은 고강조 구조조정을 차질없이 이행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선 김 전 의원이 역대 한전 사장에 비해선 에너지 부문의 전문성이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 그럼에도 향후 전기요금 인상 등과 관련한 관계부처 및 당정과의 소통 능력이 더 중요한 만큼 김 전 의원을 적임자로 본 것이라는 해석이다. 김 전 의원이 4선 국회의원을 지낸 중량감 있는 정치인인 만큼 전기요금 인상 필요성과 관련해 한전의 입장을 대변해 줄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김 전 의원은 사장에 정식 임명되면 전기요금 인상과 관련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이어 10월 국정감사에서 보다 구체적인 인상 계획과 시점 등을 언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