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윤 K-ESG 얼라이언스 의장. / 사진=뉴시스DB
|
한국경제인협회 19일 이한상 한국회계기준원 원장을 초청해 제7차 K-ESG 얼라이언스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이한상 원장은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국제논의 및 국내 동향'에 대해 K-ESG 얼라이언스 위원사 52개 기업·기관을 대상으로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김윤 K-ESG 얼라이언스 의장은 개회사를 통해 "EU 등 선진국과 국제사회에서 ESG 정보 공시 기준의 최종안이 발표되며, ESG 공시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었다"고 언급했다.
지난 6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속가능성 및 기후공시의 글로벌 표준 최종안'을 발표한데 이어, 7월에는 EU 집행위원회가 EU의 독자적인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인 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ESRS)의 최종안을 통과시켰다. 연내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도 기후 공시 규칙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2025년부터 ESG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겠다는 방침에 따라 금융위원회와 회계기준원이 ESG 공시제도 로드맵을 수립하고 있다.
김윤 의장은 "한국도 ESG 공시 의무화가 추진되면 우리 기업들이 생산부터 판매까지 전 과정에 걸쳐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공시 기준 마련에 있어 무엇보다 기업과 현장의 목소리가 많이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한상 원장도 국내 ESG 공시 제도 마련에 대해서 "지속가능성 공시는 기업이 납득할 만한 기준과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이 내년부터 적용되고, 우리나라도 의무공시가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보니 기업들의 관심이 뜨겁다"며 "다만 공시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고, 현장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준비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ㅍ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