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조선, '이산화탄소 운반선' 개발 몰두… 친환경 기조에 수요↑
최유빈 기자
5,361
공유하기
|
전 세계적으로 탈탄소 정책이 가속화됨에 따라 국내 조선사들이 이산화탄소(CO2) 운반선 개발에 나섰다. 미래 기술 개발로 차세대 선박 시장을 선점하기 위함이다.
22일 탄소포집·저장 분야 연구기관인 글로벌CCS연구소(Global CCS Institute)에 따르면 탄소포집·저장 시장은 매년 30% 이상 성장해 2050년에는 전 세계 탄소포집량이 76억톤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포집 시장 성장으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해상 운송할 액화이산화탄소(LCO2)운반선 수요도 증가할 전망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9월 세계적 가스전시회인 가스텍(Gastech)에서 7만4000㎥급·4만㎥·3만㎥급 LCO2운반선에 대해 미국선급협회(ABS), 로이드선급(LR), 라이베리아 기국 등으로부터 기본인증(AIP)을 받는 등 이 분야 핵심기술 개발에 매진해오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은 그리스의 캐피탈 마리타임 그룹(Capital Maritime Group)과 총 1790억원 규모의 2만2000㎥급 액화 LCO2운반선 2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이 선박은 울산 현대미포조선에서 건조돼 2025년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은 래티스테크놀로지 (Lattice Technology)사와 격자형압력탱크 기술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격자형압력탱크는 기존 고압력 탱크를 직육면체 박스형 등 원하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공간 배치 효율성이 높고, 압력용기 사이즈가 커져도 재료의 두께가 유지돼 대형화에 유리하다. 삼성중공업은 이를 활용해 LCO2 저장 용량은 키우고 비용은 낮춘 새로운 LCO2 운반선 및 부유식 이산화탄소 저장설비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한화오션은 그리스 Ecolog 및 미국 ABS 선급 그리고 스코틀랜드 밥콕 LGE와 4만㎥급 대형 LCO2 운반선 개발을 위한 4자간 업무 협약(JIP·Joint Industry Project)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을 주도하는 한화오션은 선박의 추진 성능에 관한 종합적 검토와 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의 핵심인 화물창 등 선박의 상세 설계에 관한 업무를 총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최유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