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여성에게서 자궁탈출증이 나타나면 잠복성 요실금 여부도 확인해 동시에 치료하는 것이 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 사진은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 관련이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고령 여성에게서 자궁탈출증이 나타나면 잠복성 요실금 여부도 확인해 동시에 치료하는 것이 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 사진은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 관련이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출산경험이 있는 고령의 여성에게서 이른바 '밑이 빠지는 느낌'의 증상이 나타날 때가 있다. 방광이나 직장, 자궁이 빠져나올 수 있는데 자궁이 빠지는 증상을 자궁탈출증이라 한다.


30일 의료계에 따르면 자궁탈출증은 임신과 출산과정에서 근육과 인대가 손상돼 골반 바닥부위의 지지조직에 이상이 일어나는 경우 발생한다. 비만이거나 변비가 심할 때에도 발생하기 쉽다.

자궁탈출증이 나타나면 요실금이나 빈뇨를 동반하며 심하면 자궁경부에 염증이 나타나거나 자궁이 질 밖으로 만져지기도 한다.


증상이 심하지 않고 환자가 비교적 젊은 경우에는 케겔운동 등을 통해 골반저근육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늦출 수 있다. 완전한 해결책은 아니며 나이가 들면서 증상이 진행된다.

자궁탈출증은 자궁경부에 페서리(둥근 용수철에 얇은 고무막을 반구상으로 씌운 모자 모양의 여성용 피임기구)를 이용해 교정하거나 수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자궁탈출증을 치료할 때 요실금 동반 발생 여부를 우선 파악해야 한다. 요실금이 발견되면 같이 치료하는 것이 좋은데 자궁탈출증 치료 이후 뒤늦게 발견되는 경우도 많다.

당장 요실금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더라도 자궁이 제위치를 벗어나 요도를 누르거나 요도의 근위부를 꺾어 요실금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경미한 경우를 잠복성 요실금이라 부른다. 잠복성 요실금을 두고 자궁탈출증 수술만 하면 수술 후 요실금 증상이 나타나 환자의 만족도와 삶의 질이 급격히 하락한다.


안기훈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임신과 출산, 비만, 노화 등으로 골반기저근육이 약화된 상태라면 자궁탈출증뿐만 아니라 요실금 발생의 위험도 높다"며 "잠복성 요실금으로 인한 환자의 삶의 질 하락을 방지하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요역학 검사를 통해 잠복성 요실금의 유무와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와 함께 치료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