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가 다음 응원 서비스 조작과 관련해 '여론 왜곡 조작 방지 대책' 마련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라고 지시했다. 사진은 한덕수 국무총리가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다음 응원 서비스 조작과 관련해 '여론 왜곡 조작 방지 대책' 마련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라고 지시했다. 사진은 한덕수 국무총리가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포털사이트 다음 응원 서비스 조작과 관련해 '여론 왜곡 조작 방지 대책' 마련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라고 지시했다.


4일 뉴스1에 따르면 한 총리는 이날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으로부터 지난 1일 한중전 전후 다음 응원 서비스에 뜬 응원클릭 약 3130만건(확인 IP 2294만건)을 긴급 분석한 결과를 보고받고 방통위를 비롯한 법무·과학기술정보통신·문화체육관광부 등 유관 부처에 "방송통신위원회를 중심으로 '여론 왜곡 조작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범부처 TF를 시급히 구성하라"고 긴급 지시했다. 한 총리는 "가짜 뉴스는 민주주의의 근간을 뒤흔드는 심각한 사회적 재앙"이라면서 "과거 드루킹 사건과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범부처 TF를 신속하게 꾸려서 가짜 뉴스 방지 의무를 포함한 입법 대책과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강조했다.

지난 1일 항저우 아시안게임 축구 한중전 관련 포털 서비스의 응원 서비스 중 다음에서 93%의 참여자가 중국을 응원해 여론 조작 논란이 불거졌다. 방통위·카카오 분석 결과 ▲가상망인 VPN을 악용해 국내 네티즌인 것처럼 우회접속하는 수법 ▲컴퓨터가 같은 작업을 자동 반복하게 하는 매크로 조작 수법을 활용해 중국 응원 댓글이 대량 생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방송통신위원회와 관계 부처로 구성되는 '여론 왜곡 조작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범부처 TF'에서는 국내외 포털 사업자들의 '가짜 여론·뉴스' 방지 의무를 비롯해 법안 마련 등 국론 분열 사태 재발 방지 대책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동관 위원장은 "이번 사태의 배후가 경찰 수사를 통해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며 "관계 부처의 실태 조사를 통해 현행법령 위반 혐의가 확인될 경우 엄중한 제재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에 계류 중인 일명 '여론 왜곡 방지법'의 통과 등 긴급 입법 대책도 강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카카오는 지난 2일 해당 서비스를 중단했다. 카카오 측은 "서비스 취지를 훼손시키는 중대한 업무방해 행위로 간주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라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