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윳값 인상' 현장 점검한 정부 "가공식품 영향은 제한적"
김문수 기자
1,106
공유하기
|
정부가 우유 원료인 원유 가격 인상 여파로 유제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자 현장 점검과 물가 관리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는 4일 양재 농협하나로마트에서 김정욱 축산정책관 주재로 소비자단체·생산자·유업계·유통업계와 현장 간담회를 열고 우유 등 가격 동향을 점검했다.
이 자리는 1일부터 일부 편의점과 슈퍼마켓에서 우유를 비롯한 유제품 가격이 인상됨에 따라 시장 반응을 점검하고 지속가능한 낙농산업 발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 원유가격은 용도별 차등가격제를 적용해 생산비가 115.76원/ℓ(13.7%) 상승한 상황에서 88원/ℓ(8.8%) 인상됐다. 새롭게 적용 중인 용도별 차등가격제는 우유 소비상황이 급격히 악화하는 경우 생산비가 증가하더라도 오히려 원유 가격을 인하할 수 있다.
김 정책관은 "국산 유제품이 소비자로부터 외면받지 않기 위해서는 가격경쟁력을 갖출 필요가 있으며 지금과 같이 고물가로 어려운 상황에서는 할인행사, 묶음 판매 등으로 소비자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고 말했다.
유업체와 하나로마트 등 유통업계도 정부의 물가안정에 협조하기로 했다. 농협 하나로마트는 오는 6일부터 유제품 가격이 인상됨에 따라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묶음 판매를 통해 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앞으로도 수시로 묶음 판매와 할인행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김 정책관은 "원유가격 인상과 함께 흰우유 가격이 인상됐지만 가공식품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주요 식품류 중 유가공품과 아이스크림(아이스바 등 일반 빙과류는 유제품 원료를 거의 사용하지 않음)을 제외하면 원유나 유제품을 원료로 사용하는 비중이 높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농식품부 조사에 따르면 식품 제조 업종별 원재료의 제조원가 비중은 53.8~78.4% 수준이다.빙과류를 제외한 아이스크림, 유가공품 정도를 제외하면 원유 가격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란 게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실제 과자류의 유제품 비중은 식품 내 1~5% 수준이었다.
정부는 관련 생산자, 유업계, 소비자단체,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TF팀)을 꾸려 낙농산업 중장기 발전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