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여파로 세입자들의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빌라밀집지역. /사진=뉴시스
전세사기 여파로 세입자들의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빌라밀집지역. /사진=뉴시스


전세 비율이 4년 반 만에 60%에서 45%로 하락했다. 전세사기 여파로 세입자들의 전세 기피현상이 심화하면서 월세화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상혁(더불어민주당·경기 김포시을)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전·월세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6월 전국 주택 임대차 계약 21만3265건 중 전세 계약은 9만7964건(45.9%)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2019년 1월 전체 16만8781건 중 전세 계약이 10만2464건(60.7%)을 차지했던 것과 비교하면 4년반새 14.8%포인트(p) 낮아진 것이다.


서울 전세 비율도 같은 기간 59.7%에서 45.0%로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62.1→53.2%)과 경기(63.8→48.2%) 역시 비슷하게 감소했다.

반면 월세는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전국 기준 월세 비중은 지난 2019년 1월 5.8%에 불과했지만 올 6월에는 12.6%로 두 배 넘게 증가했고 서울도 같은 기간 4.8%에서 8.5%로 늘었다.


올해 임대차 시장에서 전세 수요는 줄고 있는 반면 월세는 늘어나고 있다. 높은 금리와 함께 지난해 하반기부터 발생한 전세사기 사건 여파에 세입자들의 전세 기피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부터 전세보증보험 가입 요건이 까다로워진 점 역시 월세화 현상 가속화에 한몫하고 있다는 의견이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전세보증 요건 강화와 전세사기 우려로 월세 계약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보증보험 가입이 까다로운 다가구, 다세대 등 빌라의 전세 매물은 수요자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