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아웅산 묘소 테러' 순국 국가유공자 추모식… 40년만 국가행사로
이재현 기자
1,741
공유하기
|
북한의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로 순국한 17명의 국가유공자들을 기리는 추모식이 9일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유공자 제1묘역에서 거행된다.
국가보훈부는 "올해 제40주기를 맞아 유가족에 대한 위로와 국민들에게 추모의 의미를 더하기 위해 국가유공자를 예우하는 부처로서 추모식을 주관하게 됐다"고 밝혔다.
추모식에는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을 비롯해 당시 순국한 정부 요인 17명의 유족, 관계 기관 대표,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다. 추모식은 경과보고, 추모 공연, 헌화·분향, 추모사, 유족대표 인사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그동안 추모식은 매년 순국 국가유공자 유가족들이 자발적으로 개최해왔다. 앞서 2013년 30주기 추모식 땐 외교통상부(현 외교부) 주관으로 행사가 진행됐다. 국가보훈부가 제40주기를 맞아 정부 행사의 격식을 갖춘 추모식으로 주관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웅산 묘소 폭탄테러는 1983년 10월 9일 버마(현 미얀마) 수도 랭군(현 양곤)의 아웅산 묘소에서 북한이 감행한 테러다. 이 테러로 서석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이범석 외무부 장관, 김동휘 상공부 장관, 서상철 동력자원부 장관을 비롯한 공식 수행원과 취재진 등 17명이 목숨을 잃었다.
당시 미국 등 69개국이 북한을 규탄했다. 미얀마를 포함한 10여 개국은 북한과 단교 또는 수교 거부를 선언했다.
박 장관은 "정부는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가 북한의 소행임을 명확히 하고 국가와 사회 발전에 초석을 놓고자 순국의 길을 걸으셨던 분들을 기억하고, 그분들과 유가족분들을 제대로 예우하는 '일류보훈' 구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