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사이상 지방간 환자가 음주를 하면 심혈관질환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
김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교수, 문준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정석송 차의과학대학교 정보과학교실 교수는 최근 의학 분야의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인 이클리니컬메디신(eClinicalMedicine)에 연구결과를 게재했다.
이 연구는 MASLD 환자에서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을 분석하기 위해 건강보험공단의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35만명(47~86세)을 평균 9년동안 추적한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를 담고 있다.
연구팀은 "지방간이 없는 사람들 대비 MASLD이 있는 경우 심혈관질환 위험이 19% 증가했고 특히 중등도의 알코올만을 섭취(남성의 경우 하루에 30~60g, 여성의 경우 20~40g 섭취)해도 그 위험도는 28%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방간이 있는 경우 알코올 섭취가 심혈관질환 위험을 보다 높일 수 있어 금주와 절주가 꼭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질병관리청과 국립보건연구원은 비알코올 지방간(NAFLD)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을 조기 예측·진단하고 중재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연구사업을 기획·지원하고 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최근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이 간 질환뿐만 아니라 당뇨병과 심혈관질환 발생의 주요 원인 질환임을 보고한 바 있다. 특히 간질환 발생에 연관된 비알코올지방간질환보다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에 더 민감한 고위험군을 선별하는 것은 심혈관질환 합병증 발생의 예방관리와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 원장은 "MASLD 환자의 경우 심혈관질환 발생 예방을 위해선 금주 등 건강한 생활습관 개선 및 실천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며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은 지방간질환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정상으로 회복이 가능한 초기 MASLD 단계에서 심혈관질환 합병증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관리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지원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