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 늘고 분양가도 상승"… 아파트 청약시장 부정 전망 늘어
정영희 기자
2,690
공유하기
|
계속되는 고금리와 원가 인상에 따른 분양가 상승,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까지 가세하면서 건설업체와 계약자 둘 다 소극적인 자세로 돌아섰다. 아파트 분양시장이 침체되며 향후 2~3년 내 수급 불균형을 막기 위한 공급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5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2월 아파트분양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평균 8.9포인트 하락해 61.5를 기록했다. 4개월째 내림세다. 수도권은 한 달 만에 13.3포인트 하락한 78.5로 나타났다.
서울 2.0포인트(92.5→90.5) 인천 12.4포인트(85.7→73.3) 경기 25.4포인트(97.2→71.8) 하락했다. 지난 8월(100.8) 이후 4개월째 수도권 전망지수가 기준선(100) 이하로 집계됐다. 경기는 8월(108.7) 전망 최고치를 보인 후 계속해서 하락했다.
변서경 주택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금리 상승이 이어지면서 신규 택지 발표에도 수도권 분양 전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지방광역시는 지난달(77.1)보다 13.4포인트 내린 63.7로 전망됐다. ▲광주 25.0포인트(75.0→50.0) ▲대구 13.7포인트(77.3→63.6) ▲울산 12.6포인트(71.4→58.8) ▲대전 9.8포인트(76.5→66.7) ▲부산 9.5포인트(85.7→76.2)다. 모든 광역시에서 두 달 연속 아파트 분양전망이 하락했다.
그밖에 ▲세종 10.2포인트(76.9→66.7) ▲전남 10.0포인트(57.1→47.1) ▲경북 8.8포인트(66.7→57.9) ▲경남 7.2포인트(64.3→57.1) ▲전북 6.7포인트(60.0→53.3) ▲강원 3.8포인트(45.5→41.7) ▲충남 1.8포인트(64.3→62.5) ▲충북 1.2포인트(54.5→53.3) 하락했다. 8.9포인트 오른 제주(46.7→55.6)를 제외한 전국 모든 지역에서 아파트분양전망지수가 낮아졌다.
12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0.5포인트 하락한 106.2로 여전히 7개월째 기준선(100)을 상회하고 있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75.8로 20.8포인트 내렸다. 특히 비수도권의 분양물량이 대폭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변 부연구위원은 "향후 산업용 전기요금과 시멘트, 철근 가격 등의 상승과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의무 대상 확대 방안 예고 등으로 건축비가 더욱 상승할 것"이라며 "올 9월까지 전국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29.6%, 착공은 58.1% 줄었으며 공사비 상승에 따른 분양 연기 등으로 인해 향후 공급부족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분양 물량은 1.2포인트 하락한 95.5로 7달 연속 기준선(100)을 하회하고 있다. 연이은 분양가 상승과 공급 부족으로 인해 당분간 수요자들이 금융혜택 등을 지원하는 미분양 단지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정영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