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간소음 심하면 신축 아파트 '준공 승인 불가'
신유진 기자
1,464
공유하기
|
앞으로 짓는 신축 아파트가 층간소음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준공 승인을 받지 못하게 된다. 현재는 기준에 부합하지 못해도 건설업체가 입주 후 보강공사를 하거나 소유주와 협의했지만 앞으로는 정부의 강력한 제재로 입주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게됐다.
8일 국토교통부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주택 층간소음 해소방안'이 조만간 발표될 예정이다. 앞서 층간소음 대책은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 혁신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연장·신설과 함께 추진하는 중점 과제의 하나로 꼽혔다.
원 장관은 "범정부 차원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로 층간소음 부분을 꼽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방안에는 ▲신축 아파트 층간소음 기준미달 시 준공 불허 ▲층간소음 점검 준공 전 확대 실시 ▲LH 아파트에 층간소음 최고등급 기준 적용 ▲저소득층 바닥 방음 공사비 보조 검토 등 내용이 포함될 예정이다. 아직 세부 내용은 확정되지 않았다.
우선 국토부는 새로 짓는 아파트는 층간소음 기준에 미달할 경우 지자체의 준공 승인이 불가하도록 규정을 둔다. 준공 승인이 나지 않는다면 공사가 끝나도 입주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입주 지연에 따른 비용은 결국 건설업체가 부담할 수밖에 없다.
입주 직전뿐만 아니라 공사 도중에도 새 아파트는 층간소음 기준 충족 여부를 점검한다. 현재는 전체 가구 중 2%를 표본으로 뽑아 층간소을 검사하지만 검사 표본도 5%로 늘린다. 검사는 타이어 등 무거운 물체를 바닥에 떨어뜨려 전달되는 소음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충격 음은 조용한 사무실 수준의 소음인 49데시벨(dB) 이하여야 한다.
LH가 짓는 공공아파트는 최고 수준의 층간소음 기준을 적용한다. 민간 건설업체뿐 아니라 공공주택부터 엄격한 잣대를 적용한다. 이미 준공한 아파트는 자녀가 있는 저소득층에 한해 바닥 방음 공사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금액과 비중은 확정하지 않았다.
지난해부터 정부는 층간소음 저감 매트 설치 비용을 1.8% 금리로 대출해주고 있다. 다만 지원 실적은 21건, 대출금은 5180만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층간소음 방지를 위해 바닥을 재시공하는 경우 정부는 가구당 최대 500만원까지 4% 금리로 대출을 지원하고 있다.
다만 지원을 받기 위해선 리모델링 조합이 설립돼 있어야 한다. 정부는 해당 정책도 보완을 검토하고 있다. 층간소음으로 발생한 살인·폭력 등 5대 강력범죄는 2016년 11건에서 2021년 110건으로 급증했다. 이에 정부는 층간소음 문제를 단순 건설업계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 문제로 인식하고 대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신유진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재테크부 신유진 기자입니다. 유익한 기사를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