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 안내문? 알고보니 악성코드
김수연
4,191
공유하기
조류독감 안내문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발견돼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안랩은 최근 조류독감 안내문(조류독감 안내문.exe)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이메일 첨부파일 형태로 유포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안랩에 따르면 이 악성코드는 최근 중국에서 발생한 신종 조류독감(H7N9)에 사회적 관심이 쏠려있는 점을 악용한 것이다. 파일 실행 시 신종 조류독감에 대한 안내문이 열리고 사용자 몰래 악성코드가 설치된다. 이후 외부의 특정 서버와 통신을 시도하는데, 이는 사용자 정보를 빼내가려는 시도로 추정된다.
또한 안랩은 조류독감 안내문 뿐 아니라 ‘한국의대응전략.hwp’ 형태의 북한 관련 문서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등 사용자의 관심을 끌만한 문서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다수 발견되고 있으며, 내용과 형식이 정상파일에 가까워 사용자가 감염을 인지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호웅 안랩 시큐리티대응센터장은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업체가 제공하는 보안 패치를 설치하고, 송신자가 불분명한 수상한 메일의 첨부파일은 실행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며 “백신을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는 것도 필수다”고 당부했다.
안랩은 최근 조류독감 안내문(조류독감 안내문.exe)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이메일 첨부파일 형태로 유포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안랩에 따르면 이 악성코드는 최근 중국에서 발생한 신종 조류독감(H7N9)에 사회적 관심이 쏠려있는 점을 악용한 것이다. 파일 실행 시 신종 조류독감에 대한 안내문이 열리고 사용자 몰래 악성코드가 설치된다. 이후 외부의 특정 서버와 통신을 시도하는데, 이는 사용자 정보를 빼내가려는 시도로 추정된다.
또한 안랩은 조류독감 안내문 뿐 아니라 ‘한국의대응전략.hwp’ 형태의 북한 관련 문서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등 사용자의 관심을 끌만한 문서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다수 발견되고 있으며, 내용과 형식이 정상파일에 가까워 사용자가 감염을 인지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호웅 안랩 시큐리티대응센터장은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업체가 제공하는 보안 패치를 설치하고, 송신자가 불분명한 수상한 메일의 첨부파일은 실행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며 “백신을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는 것도 필수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