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서민 물가 줄줄이 상승
박성필
2,189
공유하기
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는 1.3% 상승했지만 서민이 자주 접하는 생활물가는 이보다 훨씬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안전행정부와 통계청이 공동 조사한 ‘6월 주요 서민생활물가’에 따르면 전국 16개 광역시·도의 평균 미용료는 1만2874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776원(16%)이나 올랐다.
지난해 대선으로 억제됐던 지방공공요금이 잇따라 오르면서 택시요금은 2686원으로 같은 기간보다 304원(12.8%) 인상됐다. 여관 숙박료는 3만8527원으로 4247원(12.4%) 올라 두 자릿수 상승세를 보였다.
외식비와 목욕료·이용료·세탁료 등 개인서비스요금도 대거 올랐다.
비빔밥 한 그릇의 평균가격은 6264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390원(6.6%) 뛰었다. 여름철 대표 음식인 냉면은 6912원으로 380원(5.8%), 칼국수는 5811원으로 284원(5.1%) 올라 5% 대 상승률을 보였다.
김밥은 2891원, 김치찌개 백반은 5655원, 삼계탕은 1만1655원, 자장면은 4223원으로 각각 3% 넘게 상승했다.
목욕료는 5284원으로 230원(4.6%), 이용료는 1만872원으로 386원(3.7%), 세탁료는 6500원으로 205원(3.3%)이 인상됐다.
도시가스료(가정용, 도매)는 1만403원으로 429원(4.3%), 하수도료(가정용)는 4039원으로 164원(4.2%) 각각 상승했다.
안행부 관계자는 “조사결과는 지역별 조사 대상들이 응답한 단순 평균가격”이라며 “보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서민물가 상승률은 더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30일 안전행정부와 통계청이 공동 조사한 ‘6월 주요 서민생활물가’에 따르면 전국 16개 광역시·도의 평균 미용료는 1만2874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776원(16%)이나 올랐다.
지난해 대선으로 억제됐던 지방공공요금이 잇따라 오르면서 택시요금은 2686원으로 같은 기간보다 304원(12.8%) 인상됐다. 여관 숙박료는 3만8527원으로 4247원(12.4%) 올라 두 자릿수 상승세를 보였다.
외식비와 목욕료·이용료·세탁료 등 개인서비스요금도 대거 올랐다.
비빔밥 한 그릇의 평균가격은 6264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390원(6.6%) 뛰었다. 여름철 대표 음식인 냉면은 6912원으로 380원(5.8%), 칼국수는 5811원으로 284원(5.1%) 올라 5% 대 상승률을 보였다.
김밥은 2891원, 김치찌개 백반은 5655원, 삼계탕은 1만1655원, 자장면은 4223원으로 각각 3% 넘게 상승했다.
목욕료는 5284원으로 230원(4.6%), 이용료는 1만872원으로 386원(3.7%), 세탁료는 6500원으로 205원(3.3%)이 인상됐다.
도시가스료(가정용, 도매)는 1만403원으로 429원(4.3%), 하수도료(가정용)는 4039원으로 164원(4.2%) 각각 상승했다.
안행부 관계자는 “조사결과는 지역별 조사 대상들이 응답한 단순 평균가격”이라며 “보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서민물가 상승률은 더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