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최적설계' 시행지침 개정…"공사비↓ 기능↑"
김병화
3,859
공유하기
앞으로 설계의 경제성 등을 검토해 채택된 제안내용이 온라인을 통해 공개 됨에 따라 유사한 설계를 수행할 때 활용하기 쉬워진다. 또 시공 과정에서 당초 설계보다 개선된 제안공법을 사용하고자 할 때 제안공법심의 절차가 간소화되고, 심의기구도 다양화돼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 제도가 활성화 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 제도를 활성화해 공사비는 절감하고 기능은 향상하는 '최적의 설계시행을 위한 관련 지침(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에 관한 시행지침)'을 개정해 16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지난 1월 건설단체, 발주청 등을 대상으로 한 민·관 합동TF를 구성하고 협의를 통해 지침 개정안을 마련한 바 있다.
개정된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그동안 개선제안공법 채택에 따른 특혜시비 부담 때문에 개선제안공법 채택 및 인센티브 지급 사례가 미미한 실정으로, 지금까지는 설계자문위원회에서만 승인여부를 심의해 왔으나, 앞으로는 발주청의 부담 완화를 위해 중앙(지방)건설기술심의위원회에서도 심의가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설계VE의 내실화를 위해 설계VE 용역업체 수행능력 평가 때 전국 VE경진대회 수상실적을 반영하고, 경관에 대한 국가적 관리가 요구되는 점을 감안 사업비절감을 목적으로 경관성, 안전성 등 기능의 저하를 야기해서는 안 됨을 명기했다.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기술제안입찰공사에 대한 설계VE 시행여부 및 실시시기에 대한 발주자의 혼란방지를 위해 대상사업과 시행시기를 명확히 했으며, 지자체 시행공사의 시공 중 설계VE에 대한 설계변경(인센티브 지급) 근거도 보완했다.
또한 VE시행결과 채택한 제안 및 제안내용 등 관련자료를 '건설CALS 포털시스템 설계VE마당'에 등재토록 해 유사한 설계 수행시 누구나 활용이 용이하도록 규정을 개정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이번 지침개정에 따라 VE 업무매뉴얼도 조만간 개정·배포해 VE 업무담당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며 "설계VE 활성화로 건설업계는 기술발전은 물론 절감액에 대한 인센티브를 보장받고, 발주기관은 예산절감 및 기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국토교통부는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 제도를 활성화해 공사비는 절감하고 기능은 향상하는 '최적의 설계시행을 위한 관련 지침(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에 관한 시행지침)'을 개정해 16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지난 1월 건설단체, 발주청 등을 대상으로 한 민·관 합동TF를 구성하고 협의를 통해 지침 개정안을 마련한 바 있다.
개정된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그동안 개선제안공법 채택에 따른 특혜시비 부담 때문에 개선제안공법 채택 및 인센티브 지급 사례가 미미한 실정으로, 지금까지는 설계자문위원회에서만 승인여부를 심의해 왔으나, 앞으로는 발주청의 부담 완화를 위해 중앙(지방)건설기술심의위원회에서도 심의가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설계VE의 내실화를 위해 설계VE 용역업체 수행능력 평가 때 전국 VE경진대회 수상실적을 반영하고, 경관에 대한 국가적 관리가 요구되는 점을 감안 사업비절감을 목적으로 경관성, 안전성 등 기능의 저하를 야기해서는 안 됨을 명기했다.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기술제안입찰공사에 대한 설계VE 시행여부 및 실시시기에 대한 발주자의 혼란방지를 위해 대상사업과 시행시기를 명확히 했으며, 지자체 시행공사의 시공 중 설계VE에 대한 설계변경(인센티브 지급) 근거도 보완했다.
또한 VE시행결과 채택한 제안 및 제안내용 등 관련자료를 '건설CALS 포털시스템 설계VE마당'에 등재토록 해 유사한 설계 수행시 누구나 활용이 용이하도록 규정을 개정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이번 지침개정에 따라 VE 업무매뉴얼도 조만간 개정·배포해 VE 업무담당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며 "설계VE 활성화로 건설업계는 기술발전은 물론 절감액에 대한 인센티브를 보장받고, 발주기관은 예산절감 및 기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VE(Value Engineering) : 최소의 생애주기비용(LCC)으로 시설물의 필요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계내용에 대한 경제성 및 현장적용의 타당성을 기능별, 대안별로 검토하는 것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