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 11배 초거대 행성,모항성과 멀리 떨어졌음에도 차갑지 않아
강인귀 기자
9,768
2013.12.10 | 00:06:50
공유하기
'목성 11배 초거대 행성, 650AU, HD 106906 b’
최근 바네사 베일리가 이끄는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연구팀은 초거대 행성인 ‘HD 106906 b’를 발견했다. 그런데 이 행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보다 무려 11배나 큰 초거대 행성이었다.
바네사 베일리는 "행성 생성 과정에서 남은 물질들이 디스크처럼 주위를 돌고 있으며 기존의 행성 생성 이론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다”며 “아마도 쌍성계(모항성이 두개 이상) 형성 과정에서 생겨난 행성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 |
바네사 베일리의 모항성과의 거리 설명 |
지금까지의 이론을 뒤집는 목성 11배 초거대 행성이 발견되어 화제다.
최근 바네사 베일리가 이끄는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연구팀은 초거대 행성인 ‘HD 106906 b’를 발견했다. 그런데 이 행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보다 무려 11배나 큰 초거대 행성이었다.
게다가 관측 결과 모항성(태양계에서의 태양처럼 은하계의 중심 항성)과의 거리가 무려 650AU에 달했다.
1AU가 태양과 지구의 평균거리인데, 이를 감안하면 HD 106906 b는 상상하기도 힘들 정도의 궤도를 그리며 모항성과 떨어져 돌고 있는 것이다.
1AU가 태양과 지구의 평균거리인데, 이를 감안하면 HD 106906 b는 상상하기도 힘들 정도의 궤도를 그리며 모항성과 떨어져 돌고 있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들은 “이 정도로 모항성과 거리가 떨어져 있으면 기존의 행성 생성 이론으로는 이를 설명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를 이끈 바네사 베일리는 “HD 106906 b는 1300만년의 나이로 추정되는 젊은 별"이라고 말했다. 이와 비교하면 지구의 나이는 45억년이다.
한편 연구를 이끈 바네사 베일리는 “HD 106906 b는 1300만년의 나이로 추정되는 젊은 별"이라고 말했다. 이와 비교하면 지구의 나이는 45억년이다.
이 행성에 대해 또 한가지 이해할 수 없는 것은 모항성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모든 다른 행성과 달리 차갑지 않은 점이다.
HD 106906가 이는 태양계인 태양에서 해왕성까지의 거리의 20배에 달하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표면 온도가 지구의 중심보다 훨씬 더 뜨거운 5500℃로 예측되었다. 이는 태양 온도와 필적할 정도다.
바네사 베일리는 "행성 생성 과정에서 남은 물질들이 디스크처럼 주위를 돌고 있으며 기존의 행성 생성 이론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다”며 “아마도 쌍성계(모항성이 두개 이상) 형성 과정에서 생겨난 행성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신비로운 목성 11배 초거대 행성은 칠레의 아타 카마 사막의 마젤란 광학시스템과 Clio2 열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