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려대학교가 성적증명서에 재수강과 F학점을 받은 기록을 표시하는 방안을 2014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히는 등 각 대학이 학점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전남대학교도 재수강 시 학점인플레이션을 없애기 위해 최대 취득학점 로 제한키로 했다. 그러나 전남대 총학생회가 1년 유예를 요구하고 있는 등 학생들의 반발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11일 전남대학교는 재수강 시 학점 인플레이션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재수강 최대 취득 학점을 로 제한키로 했다고 밝혔다.

대학의 학점 관리는 정부재정지원사업 및 재정지원제한대학 선정 평가에서 전체 100점 만점에서 4.4점을 차지하는 주요 지표로 2015년 대학구조조정대학 선정 평가에서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전남대는 그동안 학점 관리 영역 평가에서 전국 4년제 국공립대학 중 최하위권이라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이 같은 조치를 취하기로 결정한 것.

 

누군가는 B이하의 학점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고학년 재수강생들의 증가로 저학년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 재수강 학점을 규제하지 않을 경우 ‘학점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학점 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채용과정에서 대학의 학점에 대한 공신력을 저하시킴으로써 학생들의 취업에 불리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전남대 총학생회는 "이번 재수강 학점 강화는 갑작스러운 규정 시행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관련 규정 시행을 1년간 유예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전남대 측은 “재수강 기준 강화 관련 규정은 2013년 하계 계절학기부터 시행되고 있고 이번 학기도 학점을 부여할 시점이 됐으며 동시에 동계계절학기도 금방 시작되게 된다”면서 “이미 이 규정에 따라 교과목을 재이수한 학생들이 많아 규정 시행을 1년간 유예할 경우 형평성 문제가 야기된다”고 반박했다.

또 “교학규정 개정 추진에 관해서는 전대신문의 사전 보도(2013년 4월15일자)로 대학 구성원에게 공론화가 됐으며, 총학생회 또한 사전에 이 내용을 인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