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수출물가 6년 만에 최저치… 환율 영향
성승제 기자
2,220
공유하기
지난해 수출물가가 6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6년(2007년)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원/달러 환율 영향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14일 내놓은 '2013년 12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지난해 수출물가지수(2010년=100)는 1년 전보다 4.3% 하락한 93.69다.
달러화 등 계약 통화(수출입 때 결제수단으로 사용하는 통화) 기준으로는 1.1% 떨어졌다.
이는 수출업체가 같은 상품을 팔더라도 손에 쥐는 돈이 한국 원화로 환산하면 평균 4.3% 줄어든다는 의미다. 그만큼 채산성이 나빠진다.
수출물가지수는 2007년 84.41을 저점으로 2008~2011년 100을 웃돌았으나 2012년(97.87) 90선으로 내려온 뒤 지난해 최저점을 찍었다.
월별로 보면 지난해 12월 수출물가는 90.3으로 한달 전보다 0.3% 하락했다. 2008년 2월(89.07)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수치가 하락한 주요 품목은 휴대용전화기(-2.1%), 위성방송수신기(-0.5%) 등 통신·영상·음향기기와 순합성섬유직물(-0.4%), 가공우피(-0.9%) 등 섬유·가죽제품, 알루미늄판(-2.1%), 금괴(-4.4%)를 비롯한 제1차 금속제품 등이다.
가격이 오른 품목으로 폴리프로필렌수지(5.6%) 등 화학제품과 휘발유(3.0%) 등 석탄석유제품 등이다.
반면 지난해 수입물가지수는 102.66으로 전년보다 7.3% 하락했다. 이는 2009년(94.96)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12월 기준으로는 99.53으로 전달에 견줘 0.4% 올랐다. 9월(-2.3%), 10월(-2.4%), 11월(-0.5%) 연달아 마이너스를 기록하다 넉달 만에 반등한 것이다.
지난달 상승세는 두바이유 가격이 오르는 등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계약통화 기준으로는 전월보다 1.1% 올랐다.
한국은행이 14일 내놓은 '2013년 12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지난해 수출물가지수(2010년=100)는 1년 전보다 4.3% 하락한 93.69다.
달러화 등 계약 통화(수출입 때 결제수단으로 사용하는 통화) 기준으로는 1.1% 떨어졌다.
이는 수출업체가 같은 상품을 팔더라도 손에 쥐는 돈이 한국 원화로 환산하면 평균 4.3% 줄어든다는 의미다. 그만큼 채산성이 나빠진다.
수출물가지수는 2007년 84.41을 저점으로 2008~2011년 100을 웃돌았으나 2012년(97.87) 90선으로 내려온 뒤 지난해 최저점을 찍었다.
월별로 보면 지난해 12월 수출물가는 90.3으로 한달 전보다 0.3% 하락했다. 2008년 2월(89.07)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수치가 하락한 주요 품목은 휴대용전화기(-2.1%), 위성방송수신기(-0.5%) 등 통신·영상·음향기기와 순합성섬유직물(-0.4%), 가공우피(-0.9%) 등 섬유·가죽제품, 알루미늄판(-2.1%), 금괴(-4.4%)를 비롯한 제1차 금속제품 등이다.
가격이 오른 품목으로 폴리프로필렌수지(5.6%) 등 화학제품과 휘발유(3.0%) 등 석탄석유제품 등이다.
반면 지난해 수입물가지수는 102.66으로 전년보다 7.3% 하락했다. 이는 2009년(94.96)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12월 기준으로는 99.53으로 전달에 견줘 0.4% 올랐다. 9월(-2.3%), 10월(-2.4%), 11월(-0.5%) 연달아 마이너스를 기록하다 넉달 만에 반등한 것이다.
지난달 상승세는 두바이유 가격이 오르는 등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계약통화 기준으로는 전월보다 1.1% 올랐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