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뒤 물혹...베이커씨낭종? 무릎 관절부터 체크하세요
강인귀 기자
20,322
공유하기
![]() |
무릎은 본래 활액이라는 윤활유에 의해 마찰을 방지하고, 무릎 뒤 점액낭 사이에 있는 조직에서 혈액양을 조절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염증 등의 특정 원인에 의해 과도하게 혈액이 생기게 되면 점액낭에 차게 되고, 압력이 증가하면서 낭종이 생기게 되는 것.
‘슬와낭종’이라고도 불리는 베이커씨낭종은 쪼그려 앉으면 압박감이 느껴지거나 오래 걷고 난 후에는 돌덩이처럼 딱딱해진 것이 느껴지는 증상이 있다. 크기는 호두 알만한 것에서부터 계란 크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매우 커져서 붓기가 심해지기 전까지는 거의 통증을 유발하지 않지만 크기가 큰 경우에는 주위에 있는 신경을 눌러 신경마비 증상도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만일 이 낭종이 피부 표면으로 만져질 정도로 크기가 커지고 통증이 심하다면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하다.
치료는 보통 물만 빼면 된다고 여기는 경우도 있지만 관절염이나 연골판 손상, 십자인대 파열 등의 관절 질환이 원인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낭종제거와 동시에 원인이 되는 관절질환을 함께 치료하는 것이 올바른 치료법인 것.
바른본병원 안형권 대표원장은 “어린 나이에 발생하는 베이커씨낭종은 무릎 관절과는 대부분 연관이 없으나 나이가 든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것은 대개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해 생긴다”라며 “관절내시경으로 관절 내 원인이 되는 병변을 동시에 치료하는 것이 재발율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실제 과거에는 피부를 절개하여 낭종을 제거하는 치료가 많았으나 절개술은 피부에 흉터가 남는데다, 관절 내부의 병변을 완전하게 치료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이와 달리 관절내시경은 시술에 가까운 수술치료법으로,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1cm미만의 아주 작은 구멍을 통해 낭종을 제거할 수 있어 재발을 방지할 수 있고 회복이 빠르다고 한다.
안형권 원장은 “특히 베이커씨낭종은 퇴행성 관절질환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기 때문에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나 십자인대파열과 같은 관절 내 손상까지 체계적인 치료가 중요하다”며, “관절내시경을 이용하면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진단과 동시에 수술이 가능하여 관절 내 손상 치료의 정확도가 매우 높아진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낭종 외 다른 관절 부위의 손상 여부까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적인 치료가 가능하다"며 "수술 시간은 약 15~30분이며, 수술 당일에 보행이 가능하고 다음날부터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