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이번주 의회 청문회를 통해 공식 데뷔할 예정이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상황이어서 향후 어떤 정책을 펼칠지 전세계가 그의 입을 주목하고 있다.

 
옐런 의장은 11일(현지시간)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청문회에 이어 13일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서 통화정책에 관해 증언할 예정이다.

 

지난 3일 의장에 오른 옐런은 취임 선서를 비공개로 했고 별도의 성명도 발표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양적완화 축소의 요건 중 하나인 미국의 고용동향이 엇갈리고 있어 신흥국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미국의 테이퍼링에 대해 그가 어떤 발언을 할지 시장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1월 미국의 늘어난 일자리는 11만3000개였다. 이는 전월의 7만5000개(수정치)보다 많지만 시장의 예상치 18만개를 훨씬 밑돈다.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의 월간 평균 일자리 창출 규모는 연준의 기대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연준은 월 20만개의 일자리 창출을 본격적인 고용 회복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

최근의 일자리 동향으로만 본다면 연준의 테이퍼링 속도 조절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미국의 1월 고용동향이 좋지 않지만 양적완화 축소 속도를 조절해야 할 만큼 나쁘지 않아 연준이 테이퍼링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해 11월 미국의 자발적 퇴사율이 1.8%로 2009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면서 이는 노동시장이 개선되고 있다는 증거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퇴사한 사람 대부분이 더 나은 일자리를 찾으려고 회사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한 사람이 더 나은 직장으로 옮기면 빈자리에 다른 사람이 취업할 수 있어 노동시장의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고 신문은 평가했다.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발언도 관심이다. 연준은 금리 인상 시기를 결정하는 기준 중 하나로 실업률 6.5%를 제시했다. 미국의 1월 실업률은 6.6%로 연준의 목표치게 근접한 상태다.

실업률 기준으로만 본다면 연준의 금리 인상 시기가 가까워 보이지만 시장은 제로 수준인 초저금리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옐런 의장은 의회 인사 청문회 과정에서 경제와 고용시장이 성장 잠재력에 못 미치는 상태라며 당분간 통화 완화 기조를 지키겠다는 뜻을 밝혔다. 실업률이 6.5%로 떨어져도 초저금리를 일정 기간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