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사업자, 임대소득세 안내면 ‘세금’ 폭탄 맞는다
차완용 기자
8,421
공유하기
국세청이 그동안 월세 소득을 제대로 신고하지 않은 집주인에 대해 집중조사를 벌여 세금을 추징하기로 했다.
25일 국세청에 따르면 '과세자료 제출법' 시행령이 국무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다음 달 국토부로부터 지난 3년간의 전·월세 확정일자 자료 400만건을 넘겨받아 조사하기로 했다.
지금까지는 집주인이 자진신고하지 않는 한 국세청이 임대소득을 확인하기 어려웠지만, 앞으로는 전·월세 확정일자 자료를 통해 집주인의 세금탈루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현재 오피스텔을 포함해 2주택 이상을 보유한 사람이 한채 이상 월세를 놓아 임대수익을 올리거나, 기준시가 9억원이 넘는 고가주택 보유자는 1주택자라도 월세를 놓으면 임대료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한다. 또 비소형주택(기준시가 3억원 초과 또는 전용면적 85m² 초과)을 3채 이상 보유하고 1채 이상을 전세로 내줘도 과세 대상이 된다.
국세청은 우선 국토부로부터 넘겨받은 확정일자 자료를 분석한 뒤 고액 월세 소득자에 대해 집중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국세청에 따르면 2012년 주택 임대소득을 자진 신고한 사람은 8만3000여명으로 국내 다주택자 136만5000명의 6% 정도다.
집을 3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만 새로 과세 대상에 포함돼도 21만1000명이 임대소득의 6∼38%를 세금으로 내야 한다.
특히 임대소득을 신고하지 않은 사실이 국세청에 적발되면 내지 않은 세금에 최대 20%의 가산세를 붙여 납부해야 한다.
25일 국세청에 따르면 '과세자료 제출법' 시행령이 국무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다음 달 국토부로부터 지난 3년간의 전·월세 확정일자 자료 400만건을 넘겨받아 조사하기로 했다.
지금까지는 집주인이 자진신고하지 않는 한 국세청이 임대소득을 확인하기 어려웠지만, 앞으로는 전·월세 확정일자 자료를 통해 집주인의 세금탈루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현재 오피스텔을 포함해 2주택 이상을 보유한 사람이 한채 이상 월세를 놓아 임대수익을 올리거나, 기준시가 9억원이 넘는 고가주택 보유자는 1주택자라도 월세를 놓으면 임대료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한다. 또 비소형주택(기준시가 3억원 초과 또는 전용면적 85m² 초과)을 3채 이상 보유하고 1채 이상을 전세로 내줘도 과세 대상이 된다.
국세청은 우선 국토부로부터 넘겨받은 확정일자 자료를 분석한 뒤 고액 월세 소득자에 대해 집중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 |
▲자료사진 = 류승희 기자 |
집을 3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만 새로 과세 대상에 포함돼도 21만1000명이 임대소득의 6∼38%를 세금으로 내야 한다.
특히 임대소득을 신고하지 않은 사실이 국세청에 적발되면 내지 않은 세금에 최대 20%의 가산세를 붙여 납부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