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MWC서 보안 플랫폼 '녹스2.0' 공개…갤럭시S5에 탑재
김수연 기자
4,492
공유하기
![]() |
신종균 삼성전자 대표이사 사장이 MWC 행사에서 녹스 2.0을 소개하고 있다.(사진제공=삼성전자) |
삼성전자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4'(Mobile World Congress 2014, 이하 MWC)가 열리고 있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25일(현지시간) '삼성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미디어 이벤트'를 진행해 녹스에 대한 혁신 의지를 밝혔다.
녹스는 삼성전자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안드로이드 운영체계(OS) 기반의 보안 플랫폼으로 지난해 MWC에서 첫공개 이후 10월 시장에 출시됐다. 녹스가 탑재된 단말기는 출시 5개월만에 전세계적으로 2500만대 이상 판매됐으며, 현재 녹스 사용자는 100만명을 넘어섰다. 처음 녹스를 탑재한 갤럭시S4는 미국 국방부로부터 보안 인증을 받기도 했다.
녹스는 스마트기기의 하드웨어부터 운영체계, 애플리케이션까지 각 계층별로 최적화된 보안 솔루션이 적용됐으며, 암호화된 '컨테이너'라는 공간을 두고 있다. 사용자는 컨테이너를 통해 개인용 데이터와 업무용 데이터를 별도 분리해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해 업무용 데이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번 MWC에서 소개된 녹스 2.0은 기존 녹스의 핵심 보안 기능을 확대하고 편리한 컨테이너 사용자 환경을 지원한다고 삼성전자 측은 설명했다.
녹스 2.0은 공인인증서와 같은 사용자 인증 정보와 각종 암호화 키 정보들을 하드웨어 칩셋에 구현한 '트러스트 존'(TrustZone)을 통해 관리할 수 있게 했다. 이는 스마트기기의 분실이나 해킹 등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보호하고 사용자가 기기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기존 개인암호뿐 아니라 지문인식을 통한 이중 인증 방식을 지원하고 실시간으로 스마트기기의 커널 코드와 정보 등을 모니터링하도록 보안 기능을 강화했다.
특히 기존의 경우 컨테이너 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변환 작업이 필요해 사용이 다소 제한적이었으나 녹스 2.0의 컨테이너는 별도의 변환 없이 사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수가 대폭 확장됐다.
이 밖에 컨테이너 내부와 외부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요금을 구분해 '분리 과금'이 가능해졌다. 이로써 개인용 기기를 기업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안과 사용성을 강화할 뿐 아니라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EMM'(Enterprise Mobility Management)과 '마켓 플레이스'를 통해 중소기업들도 편리하게 보안 플랫폼 녹스를 사용할 수 있게 했다. 기업들은 EMM을 통해 클라우드환경에서 업무 시 스마트기기의 인증 권한 등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마켓 플레이스를 통해 녹스 플랫폼 외에도 녹스용 CRM, ERP 등 140개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필요에 따라 개별 또는 번들로 구매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녹스 2.0은 올해 2분기에 상용화 예정이며 삼성전자의 차세대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5에 기본 탑재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