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시간제 일자리, 10명 중 4명 최저임금도 못받아
문혜원 기자
3,556
공유하기
![]() |
▲자료사진 = 머니투데이 DB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은수미 의원(민주당)이 2일 장지연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원에게 의뢰해 받은 '시간제 일자리 확대의 문제점' 연구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시간제 일자리가 2배 이상 늘었지만 10명 중 4명이 최저임금 미만의 보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시간제 일자리를 창출해 고용률을 높이겠다는 정부의 접근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국내 시간제 일자리는 2003년 92만9000여개(전체 임금근로자의 6.6%)에서 2013년 188만3000여개(10.4%)로 10년간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고용의 질은 악화돼 지난해 여성 시간제 근로자의 임금은 남성 정규직 월평균 임금의 21%, 시간당 임금의 46.7%에 불과했다. 2003년 정규직 월급의 24.2%, 시급의 62.8%보다 더 악화된 수치다. 여성 시간제 일자리 근로자가 최저임금 미만 임금을 받은 비율 역시 2003년 14.4%였지만 지난해에는 36.9%로 치솟았다.
남성 시간제 일자리도 사정은 비슷했다. 지난해 정규직 월 임금대비 24.7%, 시간당 임금대비 50.5%로 임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최저임금을 받지 못한 비율도 35.1%에 달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