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고 있는 한국의 자살 원인 중 하나가 경제적 어려움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12년 인구 10만명당 고의적 자해사망자(자살)은 28.1명으로 20년 전인 1992년 8.3명의 3배가 넘는다.

자살 사망률은 1992년 8.3명에서 외환위기가 발생한 1998년 18.4명으로 늘었고 2002년 17.9명, 2007년 24.8명에 이어 2011년 31.7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2년 28.1명으로 소폭 하락했다.

2012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표준인구로 계산한 한국의 자살률은 29.1명으로 OECD회원국 중 가장 높다. OECD 평균은 12.5명에 불과하다.

한국의 자살원인은 경제적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012년 15세 인구를 대상으로 한 사회조사에서 1년 사이 심각한 수준의 자살 충동을 느낀적이 있다는 답변이 9.1%에 달했고 이중 39.5%가 '경제적 어려움 때문'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