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 드라마가 중국 내에서 열풍을 일으키면서 중국 내 온라인 마켓에서도 드라마속 연예인의 화장품이나 패션 아이템에 대한 키워드가 급증하고 있다.


중국의 최대 오픈마켓인 타오바오에서 ‘한국 스타일’ 키워드로 검색되는 상품 수는 약 4,005 만여개, ‘한국 패션’으로 검색되는 상품 수도 906만 여개에 달한다.


실제 중국 티몰(Tmall)에 입점한 A쇼핑몰은 드라마에서 인기를 끈 여배우의 화장품과 관련된 키워드가 증가함에 따라 같은 컬러의 화장품 라인업을 판매해 높은 판매율을 보이고 있다.


해외 전자상거래를 이용해 한국 패션 상품을 찾는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해 외 오픈마켓에서도 한국 패션 상품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해외 오픈마켓 입점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 카페24(www.cafe24.com)에 따르면, 지난 9월 서비스 오픈 이후 영, 중, 일 해외 대표 마켓에서 판매되고 있는 국내 온라인 전문 쇼핑몰 상품이 1만 개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올해 1월 4,000여건에 이르던 제품 등록 수는 최근 2개월 사이 2배 이상 증가했다.
한류 영향이 패션 등 소비 상품에 녹아 들면서 한국 패션 아이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국내 업체들도 판매 상품을 지속적으로 늘리거나 국가별로 입점 마켓 수를 확장하는 추세다.


▲ 제공=카페24
▲ 제공=카페24
실제 아마존에는 여성의류 전문몰인 ‘스타일난다’를 비롯해 현재 30개 업체가 입점해 있으며, 중국의 알리바바 그룹 내 쇼핑 사이트인 티몰과 일본 최대 오픈마켓인 라쿠텐에도 각각 12개 국내 몰이 입점해 있다.


일본 시장 확대를 위해 지난 해 말 라쿠텐에 입점한 여성의류 전문몰 ‘츄(www.chuu.co.kr)’의 구길리 대표는 “자체 일본 쇼핑몰 사이트 매출이 높아지면서 일본 고객과의 접점 확대 및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라쿠텐 입점을 결심했다”며 “해외는 오픈마켓 등을 통해 상품 검색 및 정보를 얻는 소비자도 많아 판매 채널뿐 아니라 홍보 마케팅 채널로서의 효과도 높다”고 말했다.


이처럼 해외로 진출한 쇼핑몰들의 경우 해외 판매루트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큰 규모의 현지 마켓 입점은 자연스러운 선택으로 여기고 있다. 하지만 해외 오픈마켓의 경우 국내와 달리 입점 조건 및 절차가 까다롭다.


가령 아마존의 경우 현지의 주소와 은행 계좌가 있어야만 판매가 가능하며, 티몰의 경우는 중국 내 법인이 있고 자국 내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어야 한 다. 때문에 개인 사업자가 쉽게 진출하기 힘든 구조다.


카페24에서는 미국, 일본, 중국 내 현지 법인을 통해 이들 현지 오픈마켓과 제휴를 맺고 국내 쇼핑몰들이 카페24 법인을 통해 마켓에 입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지난해 말에는 국내 최초로 아마존과 제휴를 맺고 ‘아마존 무료 입점, 번역 프로모션’도 진행해 약 680여곳이 신청했고, 아마존 입점 심사 단계를 거쳐 입점이 진행 중이다.


카페24 해외 오픈마켓운영팀 송종헌 팀장은 “해외 진출 시 해외 판로를 추가로 확장하는 것 을 염두해둬야 하는 만큼 카페24는 미국, 중국, 일본, 대만 등 국가별 대표 마켓들과의 제휴를 추가로 확대해 국내 업체들의 매출 확대를 도울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