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장애

특별한 외상이 없었는데 턱뼈가 아프거나, 입을 다물고 벌릴 때 소리가 나는 등 턱에서 이상신호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턱관절 장애일 수 있기 때문이다.

턱관절 장애는 방치했을 때 심각한 척추질환, 안면비대칭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초기에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턱관절은 얼굴뼈의 상악과 하악이 만나는 부분으로, 입을 벌리고 다물 때의 축이 되는 부위다. 이런 턱관절에 장애가 발생하면 주변의 근육들까지 긴장하게 돼 극심한 통증도 생길 수 있다.

턱과 관련된 증상을 턱관절 장애, 악관절 장애 또는 TMJ 증후군이라 부르는데, 두통, 편두통, 뒷목과 어깨의 뻐근함, 이갈이, 이명, 만성피로, 소화장애 등도 턱관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이다.


흔히 쓰이는 턱관절장애 치료법은 스프린트, 보철치료 등의 교정치료이며, 일부에서는 외과적 수술을 권하기도 한다.

그런데 교정치료의 경우 치료기간이 2년 정도 걸리는데다가 보기에 좋지 않고,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이 커 중도 포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한다. 또 수술은 치료비나 통증, 공포감 등의 이유로 선택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

이에 바른턱경희정함한의원 박근용 원장은 “성장기의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부정교합이나 턱관절 장애는 비염이나 축농증의 원인이 될 수 있고, 골격의 불균형한 성장과도 밀접하게 연관돼 있어 전신체형을 고려한 치료법을 선택해야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때문에 경희정함한의원은 턱 뿐 아니라 턱의 운동을 조절하는 경추(목뼈)를 교정하고 두개골의 긴장을 해소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치료를 지향하고 있는데, 특히 틀어진 체형을 바로잡는 것이 우선시 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틀어진 체형을 바로잡는데는 ‘정함요법’이 쓰이는데 정함요법은 벌어진 관절을 무저항 상태로 바로잡고, 약물치료를 병행하면서 관절 및 인대를 강화시켜주기 위해 박 원장에 의해 창안된 치료요법이다. 박 원장은 이를 통해 수많은 환자들의 턱관절을 치료해왔다고 밝혔다.

박 원장은 “정함요법은 전신체형을 치료하는 요법이기 때문에 턱은 물론 우리 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질환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고 전했다. 턱관절 질환, 디스크, 노인성 척추, 틀어진 골반, 휜다리, 안면비대칭, 일자목과 일자허리 등이 치료 가능하다는 설명.


한편 초기의 턱관절 장애 생활습관 개선만으로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지나치게 단단하고 질긴 음식은 삼가고, 허리를 곧게 세우고 머리를 뒤쪽으로 당겨서 앉는 자세를 연습하는 것이 좋다. 생활습관 개선으로 효과를 보기 어렵다면 조기에 병원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움말, 이미지제공=경희정함한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