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담배 더 피우고, 고소득층은 술 더 마셨다
담뱃값이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년째 하락한 반면 술값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 기준으로 지난해 담배 소비 규모는 월 평균 1만7263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소비지출(248만725원)의 0.70%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담뱃값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05년 1.14%를 기록한 뒤 8년 연속 하락했다.

2008년 0.96%, 2009년 0.85%, 2010년 0.81%, 2011년 0.77%, 2012년 0.75% 등으로 떨어지다가 작년에는 0.70%까지 내려왔다.

반면 술값으로 지출하는 금액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2013년도 주류 소비액은 가구당 월 평균 1만751원으로 전년도(9779원)보다 9.9%나 많아졌고,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0.40%에서 0.43%로 상승했다.

이 비중은 2008년 0.38%를 기록한 뒤 0.39% 내외에서 등락을 거듭하다가 2012년 0.40%로 올라섰었다.

금연 문화가 확산되면서 담배 소비가 줄었지만, 술값은 계속 늘어나는 셈이다.

이런 추세는 소득계층별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저소득층인 1분위의 담뱃값 지출액은 2011년 1만2686원, 2012년 1만3716원, 2013년 1만3990원으로 최근 2년 연속 증가했다.

반면 고소득층인 5분위는 같은 기간 1만9540원에서 1만5708원으로 19.6%(3832원)나 감소했다.

1분위의 담뱃값 지출액이 2005~2011년까지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2011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불황 장기화 속에 저소득층은 담배 소비를 다시 늘린 반면 고소득층은 줄인 셈이다.

하지만 주류와 관련해선 작년 1분위의 술값 지출액이 월 평균 7183원으로 전년대비 5.5% 증가하는 동안 5분위의 술값 지출액은 1만3165원으로 14.2% 많아졌다.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의 술값 지출이 더 빠른 속도로 늘고 있는 것.

한편 불황 속에서도 꾸준히 증가하던 커피 및 차 소비는 지난해 가구당 월 평균 8300원으로 집계돼 전년(8500원)보다 2.4%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