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히고, 터지고…다양한 뇌졸중의 원인, 주위의 배려 '필수'
강인귀 기자
4,117
공유하기
|
'뇌졸중의 원인, 뇌경색, 뇌출혈'
아침저녁으로 쌀쌀한 바람이 부는 가을이 찾아왔다. 이에 혈관이 수축되며 발생하는 '뇌졸중의 원인'이 한 포털사이트의 주요 키워드로 떠올랐다.
뇌졸중의 종류와 원인은 무엇일까.
뇌졸중은 뇌혈관 장애로 인한 질환의 총칭으로 일반적으로 갑자기 뇌혈관에 순환장애가 일어나 의식이 없어지고 신체가 마비되는 뇌혈관 질환을 말한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혀서 생기는 뇌경색(허혈성 뇌졸중)과 뇌혈관이 터져서 생기는 뇌출혈(출혈성 뇌졸중)이 있으나, 생활 패턴의 변화로 뇌경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허혈성 뇌졸중은 심장 및 그 주변 기관에서 혈전(혈관 내 혈액 응고물)이 발생하여, 이 혈전이 떨어져 나와 뇌의 혈관을 막는 ‘뇌색전증’에 의해서도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심장판막증과 같은 심장질환 환자에게 뇌졸중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바로 이런 뇌색전증때문이다. 이때 뇌경색이 발생한 부위는 그 기능을 되살릴 수 없으며, 따라서 장애가 영구히 남게 된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뇌의 혈관 벽은 1,500㎜Hg라는 높은 혈압에도 견디는 탄력성과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나, 혈관이 약해져 있는 부위는 200㎜Hg의 혈압에도 쉽게 파열되어 뇌출혈이 생긴다.
출혈성 뇌졸중의 원인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은 것은 고혈압성 뇌출혈이다. 이는 고혈압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하는 경우나 무리하게 힘든 일을 하거나 피로가 겹치고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약해진 뇌혈관 일부가 높은 혈압에 의하여 파열되어 발생한다.
일단 뇌졸중이 생기면 환자의 성격, 행동과 생활에 급격한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때 심하면 기본적인 일상생활에도 남의 도움을 받게 되어 사회적 지위나 가정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상실한 것으로 생각하게 되며 무력감∙당혹∙수치심 등을 느끼게 된다. 더불어 자신과 주위 사람들에 대한 분노와 미안한 감정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불안과 분노, 부정과 우울증이 심해질 수 있는 만큼 환자가 자신의 처지를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이해와 배려를 해주는 것이 의학적인 치료이외에 주위에서 해줄 수 있는 조치라고 할 수 있겠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