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면전쟁, 베개 소재 ‘라텍스 Vs. 메모리폼’ 어떻게 다를까
강인귀 기자
29,163
공유하기
숙면이 힐링의 수단이라는 인식속에 다양한 기능성 베개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최근 기능성 베개 소재로 라텍스와 메모리폼이 자주 언급되곤 하는데, 언뜻 만져보았을 때 둘 다 비슷한 느낌이라 소비자 입장에서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애매할 때가 많다. 라텍스와 메모리폼, 무엇이 다른지 알아봤다.
▶라텍스, 완전한 천연은 없다
라텍스는 천연 고무나무 껍질의 흠이 난 부위에서 채취한 우유빛의 하얀 고무액을 주원료로 폼산이나 아세트산 같은 첨가물을 넣고 응고시켜 제품으로 만든다. 그런데 천연라텍스라 하더라도 100% 천연 고무는 아니다. 빵을 만들 때 효모를 넣고 만드는 것처럼 천연라텍스를 만들 때도 첨가제를 넣게 되는 것.
이에 100% 천연라텍스는 라텍스 제조 시 필요한 최소한의 첨가물(5~6%)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이 100% 천연 고무로 만들어진 것을 말한다.
원료 자체가 고무 성분이기 때문에 고무줄처럼 튕겨내는 성질이 뛰어난데, 첨가물의 함량이 많은 합성라텍스는 라텍스가 딱딱해져서 가루가 날리는 ‘경화현상’이 생기는 경우가 더러 있다.
또 라텍스 소재는 열에 약하기 때문에 고온의 온돌이나 전기 장판에서 사용하거나, 직사광선에 자주 노출될 경우 경화현상이 더 빨리 올 수 있다.
실제로 최근 한국소비자원이 시판중인 천연라텍스 베개 8종을 수거해서 분석한 결과, 4개 제품에서 최소 16% 최대 34%의 합성 라텍스가 검출됐다. 또 장기간 사용을 가정해, 이 제품들을 100℃ 이상의 오븐에서 170시간 가열해 본 결과, 변색과 균열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런데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는 사람들이나 영유아들이 장기간 이 같은 문제가 생긴 베개를 사용할 경우 호흡기 계통에 좋지 않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제품 선택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 라텍스 속을 잘라서 확인하지 않고서는 육안으로 천연라텍스와 합성라텍스 제품을 구분하기는 어려우며, 합성라텍스가 많이 섞여 있는 제품을 천연라텍스라고 해서 속여 파는 경우도 있으므로 잘 알아보고 고르는 것이 좋다.
▶메모리폼, 품질 천차만별
메모리폼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우주선 발사 시 비행사들이 받는 충격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개발한 화학수지(폴리우레탄)이다. 밀도는 높지만 탄성이 낮아 아무리 강한 충격도 95% 이상 흡수해내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실험 결과, 메모리폼은 분당 16회씩 12만5000번의 충격을 가해도 복원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입증됐다.
눌렀을 때 서서히 복원되어 원래 상태로 돌아오려고 저항하는 성질 때문에 머리가 누르는 압력이 베개 전체로 적절하게 분산된다. C자형으로 굴곡이 있는 경추를 적당한 탄성으로 지탱시켜 주기 때문에 경추교정용 정형베개 등도 메모리폼으로 된 소재가 많다. 라텍스보다는 메모리폼이 온도에 좀 더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메모리폼은 미세한 벌집 모양의 오픈 셀 구조로 되어 있어 통기성이 뛰어나다.
같은 메모리폼 소재라 하더라도 밀도와 탄성, 항균성 등에 따라 품질이 천차만별이므로 잘 따져보고 고르는 것이 좋다. 저렴한 메모리폼 소재일수록 밀도가 낮아서 경추를 안정적으로 받쳐 주지 못할 수 있고, 유해한 휘발성 화학물질 냄새가 날 우려가 있다. 제품에 따라서 세탁이 가능한 제품이 있고, 그렇지 않은 제품이 있기 때문에 때문에 구입 전에 꼭 확인해야 한다. 또 품질에 대한 인증 내역이나, 보증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점도 살펴봐야 한다.
<이미지제공=시셀코리아>
▶라텍스, 완전한 천연은 없다
라텍스는 천연 고무나무 껍질의 흠이 난 부위에서 채취한 우유빛의 하얀 고무액을 주원료로 폼산이나 아세트산 같은 첨가물을 넣고 응고시켜 제품으로 만든다. 그런데 천연라텍스라 하더라도 100% 천연 고무는 아니다. 빵을 만들 때 효모를 넣고 만드는 것처럼 천연라텍스를 만들 때도 첨가제를 넣게 되는 것.
이에 100% 천연라텍스는 라텍스 제조 시 필요한 최소한의 첨가물(5~6%)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이 100% 천연 고무로 만들어진 것을 말한다.
원료 자체가 고무 성분이기 때문에 고무줄처럼 튕겨내는 성질이 뛰어난데, 첨가물의 함량이 많은 합성라텍스는 라텍스가 딱딱해져서 가루가 날리는 ‘경화현상’이 생기는 경우가 더러 있다.
또 라텍스 소재는 열에 약하기 때문에 고온의 온돌이나 전기 장판에서 사용하거나, 직사광선에 자주 노출될 경우 경화현상이 더 빨리 올 수 있다.
실제로 최근 한국소비자원이 시판중인 천연라텍스 베개 8종을 수거해서 분석한 결과, 4개 제품에서 최소 16% 최대 34%의 합성 라텍스가 검출됐다. 또 장기간 사용을 가정해, 이 제품들을 100℃ 이상의 오븐에서 170시간 가열해 본 결과, 변색과 균열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런데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는 사람들이나 영유아들이 장기간 이 같은 문제가 생긴 베개를 사용할 경우 호흡기 계통에 좋지 않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제품 선택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 라텍스 속을 잘라서 확인하지 않고서는 육안으로 천연라텍스와 합성라텍스 제품을 구분하기는 어려우며, 합성라텍스가 많이 섞여 있는 제품을 천연라텍스라고 해서 속여 파는 경우도 있으므로 잘 알아보고 고르는 것이 좋다.
▶메모리폼, 품질 천차만별
![]() |
눌렀을 때 서서히 복원되어 원래 상태로 돌아오려고 저항하는 성질 때문에 머리가 누르는 압력이 베개 전체로 적절하게 분산된다. C자형으로 굴곡이 있는 경추를 적당한 탄성으로 지탱시켜 주기 때문에 경추교정용 정형베개 등도 메모리폼으로 된 소재가 많다. 라텍스보다는 메모리폼이 온도에 좀 더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메모리폼은 미세한 벌집 모양의 오픈 셀 구조로 되어 있어 통기성이 뛰어나다.
같은 메모리폼 소재라 하더라도 밀도와 탄성, 항균성 등에 따라 품질이 천차만별이므로 잘 따져보고 고르는 것이 좋다. 저렴한 메모리폼 소재일수록 밀도가 낮아서 경추를 안정적으로 받쳐 주지 못할 수 있고, 유해한 휘발성 화학물질 냄새가 날 우려가 있다. 제품에 따라서 세탁이 가능한 제품이 있고, 그렇지 않은 제품이 있기 때문에 때문에 구입 전에 꼭 확인해야 한다. 또 품질에 대한 인증 내역이나, 보증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점도 살펴봐야 한다.
<이미지제공=시셀코리아>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