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골은 재생되지 않는다…나이 성별 관계없이 무릎연골손상 주의해야
강인귀 기자
5,820
공유하기
1년전 무릎을 삐끗한 J씨(56세). 통증이 있었지만 일상생활의 불편함이 없는 정도였기에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하지만 통증이 갈수록 심해짐을 느끼고 결국 병원을 찾았다.
한편 스피드 스케이팅의 여제 이상화 선수도 오랫동안 이어온 훈련에 무릎 연골 통증으로 고생 했다고 한다. 이처럼 무릎 연골은 나이와 성별에 관계없이 무릎을 어느 정도 사용했느냐에 따라 연골 손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
무릎 연골을 이루고 있는 반월상연골은 다리 관절에 위치해 하중을 전달하고 우리 몸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 힘을 흡수해 관절의 안정성에 기여하며 동시에 부드러운 움직임을 위해 윤활 작용을 해주기도 한다.
이처럼 무릎 연골은 여러가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나 과한 무릎 사용은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
직업 특성상 쪼그려 앉는 일이 잦은 사람의 무릎 연골은 마모와 늘어짐이 반복되면서 쉽게 파열될 수 있으며, 주로 운동선수들이나 집안일을 자주하는 주부들에게 발생 할 가능성이 높다.
질환의 발생 여부는 증상을 통해 알수 있는데 우선 통증이 나타나고 눌렀을 때 아픔이 세지거나 굽혔다 폈다를 할때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연골 손상을 의심해볼 수 있다. 또한 많이 걷거나 운동한 후 무릎에서 소리가 나거나 계단을 올라갈 때보다 내려갈 때 무릎 통증이 심하다면 연골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연골 손상이 상당 진행되어 무릎이 붓고 움직임이 둔해지면 근력저하로 힘이 빠지고 다리가 풀려 넘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계단을 오르 내릴 때 조심해야 한다.
무릎연골 손상 치료는 비수술적인 치료를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과거 무릎연골을 제거하고 인공연골을 넣는 수술을 통해 치료했지만, 최근에는 자가골수줄기세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인 치료로 수술에 대한 부담감을 갖고 있는 환자들에게 적합하다.
도현우 전문의는 "무릎연골손상 예방을 위해서는 자신의 체력에 맞는 운동 선택과 함께 충분한 준비운동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며, 집안일의 경우도 쪼그려 앉아서 하기 보다는 의자에 앉아서 할 수 있도록 방법을 바꾸면 무릎에 무리가 덜하다"며 "무릎관절에 좋은 고정식 자전거나 수중 아쿠아로빅 운동을 통한 관절 강화와 함께 현미나 잡곡 그리고 등푸른 생선을 자주 섭취하고 우유와 오메가3나 종합비타민 등으로 관절 건강을 챙겨주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한편 무릎에 통증이 발생하면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연골은 피부와 같은 재생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정상적인 치료와 함께 예방을 위한 운동 등을 지속적으로 해주는 것이 좋다.
한편 스피드 스케이팅의 여제 이상화 선수도 오랫동안 이어온 훈련에 무릎 연골 통증으로 고생 했다고 한다. 이처럼 무릎 연골은 나이와 성별에 관계없이 무릎을 어느 정도 사용했느냐에 따라 연골 손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
무릎 연골을 이루고 있는 반월상연골은 다리 관절에 위치해 하중을 전달하고 우리 몸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 힘을 흡수해 관절의 안정성에 기여하며 동시에 부드러운 움직임을 위해 윤활 작용을 해주기도 한다.
이처럼 무릎 연골은 여러가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나 과한 무릎 사용은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
직업 특성상 쪼그려 앉는 일이 잦은 사람의 무릎 연골은 마모와 늘어짐이 반복되면서 쉽게 파열될 수 있으며, 주로 운동선수들이나 집안일을 자주하는 주부들에게 발생 할 가능성이 높다.
질환의 발생 여부는 증상을 통해 알수 있는데 우선 통증이 나타나고 눌렀을 때 아픔이 세지거나 굽혔다 폈다를 할때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연골 손상을 의심해볼 수 있다. 또한 많이 걷거나 운동한 후 무릎에서 소리가 나거나 계단을 올라갈 때보다 내려갈 때 무릎 통증이 심하다면 연골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연골 손상이 상당 진행되어 무릎이 붓고 움직임이 둔해지면 근력저하로 힘이 빠지고 다리가 풀려 넘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계단을 오르 내릴 때 조심해야 한다.
무릎연골 손상 치료는 비수술적인 치료를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과거 무릎연골을 제거하고 인공연골을 넣는 수술을 통해 치료했지만, 최근에는 자가골수줄기세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인 치료로 수술에 대한 부담감을 갖고 있는 환자들에게 적합하다.
도현우 전문의는 "무릎연골손상 예방을 위해서는 자신의 체력에 맞는 운동 선택과 함께 충분한 준비운동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며, 집안일의 경우도 쪼그려 앉아서 하기 보다는 의자에 앉아서 할 수 있도록 방법을 바꾸면 무릎에 무리가 덜하다"며 "무릎관절에 좋은 고정식 자전거나 수중 아쿠아로빅 운동을 통한 관절 강화와 함께 현미나 잡곡 그리고 등푸른 생선을 자주 섭취하고 우유와 오메가3나 종합비타민 등으로 관절 건강을 챙겨주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한편 무릎에 통증이 발생하면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연골은 피부와 같은 재생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정상적인 치료와 함께 예방을 위한 운동 등을 지속적으로 해주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