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암살을 다룬 영화를 상영하려 했던 소니가 해킹 사건을 겪은 후 북한이 배후로 지목됐다. 미국은 북한에 대해 보복 가능성을 시사해 사이버 전쟁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사진=영화 인터뷰 포스터
김정은 암살을 다룬 영화를 상영하려 했던 소니가 해킹 사건을 겪은 후 북한이 배후로 지목됐다. 미국은 북한에 대해 보복 가능성을 시사해 사이버 전쟁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사진=영화 인터뷰 포스터

'미국 소니해킹 보복' '북한 인터넷 다운'

22일(현지시간) 북한 인터넷이 다운됐다는 보도 이후 미국 국무부가 "응조치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일부는 눈에 보이고 일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수 있다"며 보복 공격을 시사했다.

마리 하프 미국 국무부 부대변인은 22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 자리에서 소니 해킹 후속 대응에 대한 질문에 "광범위한 옵션을 검토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는 곧 북한을 향한 사이버 보복을 감행할 수 있음을 넌지시 나낸 것이라는 의견이 조심스레 흘러나온다.

하프 부대변인은 또 북한이 이번 해킹사건과 관련해 공동조사를 제안한 데 대해 "북한 정부는 파괴적이고 도발적인 행동에 대해 책임을 부정해온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북한이 우리를 돕기 원한다면 책임을 인정하고 자신들이 야한 손해를 배상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 정부가 파괴적인 이번 공격에 책임이 있다는 연방수사국(FBI)의 수사결과를 지지하고 신뢰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북한이 미국 본토 공격을 위협하고 있는데 대해서 ""현재 정부는 관련 상황을 주시하고 있으며 위험에 처할 수 있는 개인과 법인들에 대해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주고 있다"며 "우리는 북한이 자제력을 발휘하고 추가적인 위협행동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