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5개 계열사 '삼성동 집결'… “지역 상권 보호”
최윤신 기자
3,705
공유하기
![]() |
삼성동 옛 한국전력 사옥 /사진=뉴스1 |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매입한 삼성동 옛 한국전력 본사에 일부 계열사를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21일 머니투데이 보도에 따르면 현대글로비스, 현대파워텍, 현대위아, 동부특수강, 현대엔지니어링 5개사의 본사 또는 일부 부서가 다음달부터 순차적으로 삼성동 옛 한전사옥으로 이전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계열사들의 한전사옥 이전은 지역상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전이 나주혁신도시로 이전하며 영업 타격에 직면한 지역 상권을 위해 계열사 이전을 결정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가 현대자동차그룹의 한전부지 개발사업에 속도를 붙이도록 지원해 준데 대한 명분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정부는 지난 18일 현대차그룹이 매입한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본사 부지를 최대한 빨리 개발할 수 있도록 최장 3년이 걸리는 착공시기를 최대한 단축해 내년에 착공할 수 있도록 하고 용적률도 800%까지 높여 초고층 빌딩을 지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특혜라는 의혹이 제기되자 정부는 현대차 글로벌비즈니스 센터 건설이 길어질수록 그 기간동안 주변상권의 침체가 우려되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런 상황을 고려할 때 현대차의 이번 계열사 이전 결정은 이런 정부의 결정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실제로 정부의 현대차에 대한 이례적 처사에 특혜라는 의혹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동 일대의 상권은 한전부지 쪽이 아닌 맞은편 코엑스 일대 위주로 형성돼 있어 빈터로 상당기간 남아도 상권이 공동화할 가능성이 높지 않아 정부의 처사가 설득력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또 한편에서는 이전대상에 현대엔지니어링의 '자산관리실'이 포함된 것에 대해 그룹의 핵심자산으로 떠오른 옛 한전 본사부지와 계열사 부동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자산관리실’은 현대차그룹이 소유한 건물이나 공장 등 부동산 자산관리를 거의 총괄하는 핵심부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