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면서 스마트폰 보면 어깨는 쉬지 못해…오십견 발병 시기 앞 당겨
강인귀 기자
4,272
공유하기
대학생 L씨(23세)는 집에 있을 때면 침대에 엎드리거나 누워서 스마트폰을 사용한다. 또 잠들기 전에 스마트폰으로 못 봤던 드라마를 보거나 SNS를 확인하다 잠드는 것도 일상이 되었다.
이런 생활을 반복하다보니 목과 어깨 근육이 늘 뭉쳐있긴 했지만 통증이 심하지 않아 대수롭지 않게 여겼는데, 얼마 전부터 어깨와 팔까지 아파와 겸사겸사 가벼운 마음으로 병원을 찾았다가 오십견과 유사한 증상이 보인다는 뜻밖의 진단을 받게 되었다.
흔히 오십견이라고 알려져 있는 어깨 질환의 정확한 명칭은 동결견 혹은 유착성 관절낭염이다. 50대 전후 환자들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 50대 이하 청장년층 환자들도 증가하는 추세다.
실제로 대한견주관절학회가 전국 11개 대학병원에서 오십견 환자 137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대가 45.7%로 가장 많았으나 30~40대 환자도 23.4%에 달했다.
유착성 관절낭염은 어깨를 감싸고 있는 관절막에 염증이 생겨 관절막이 서로 달라 붙거나 틈이 좁아지는 것으로 발병 원인은 다양하나 잘못된 자세와 생활 습관이 어깨 질환을 악화 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구로예스병원의 황은천 원장은 “어깨에 부담이 가는 잘못된 자세나 습관이 지속되면 나이와 관계 없이 어깨 관절 사이가 좁아지게 되고 이는 오십견 발병 시기를 앞당기는 원인이 될 수 있다”며 “평소 바른 자세 유지가 중요하며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특히 쉬는 시간이나 여가 시간에도 습관처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책상에 앉아 공부하거나 일을 하는 사람들은 어깨가 늘 경직되어 있는데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어깨에 긴장이 지속되기 때문.
의자에 비스듬히 기대거나 누워서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것도 어깨에 무리를 준다. 짧은 시간은 괜찮지만 보통 영화를 보거나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는 등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자연히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황은천 원장은 “척추 관절 질환은 복합적인 문제 보다는 잘못된 생활 습관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며 “휴대폰이나 컴퓨터를 할 때 집중하면 몸을 잘 움직이지 않으면서 목과 어깨 등의 근육을 긴장 시키는데, 만약 흐트러진 자세를 오래 유지하면 어깨 뿐만 아니라 목과 허리 질환이 생길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어깨가 아픈 증상이 처음에는 미미하나 점차 심해져 팔을 올리거나 옷을 갈아입는 등 일상 생활에서도 불편함이 생길 때 어깨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젊은 층은 오십견을 앞당기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회전근개 염증이나 충돌증후근 등 다양한 어깨 관절 질환이 생길 수 있다.
어깨 질환을 예방하고 어깨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소 바른 자세 및 스트레칭이 중요하다. 따라서 어깨 관절이 과도하게 경직되지 않도록 틈틈이 양쪽 어깨를 스트레칭 해주거나 가볍게 앞 뒤로 돌리면 좋다.
또한 통증 초기에는 따뜻한 팩이나 온탕으로 근육을 이완 시켜주면 도움이 된다. 그럼에도 통증이 지속되면 증상 및 상태에 따라 운동치료나 약물치료 등을 시행해야 한다.
이런 생활을 반복하다보니 목과 어깨 근육이 늘 뭉쳐있긴 했지만 통증이 심하지 않아 대수롭지 않게 여겼는데, 얼마 전부터 어깨와 팔까지 아파와 겸사겸사 가벼운 마음으로 병원을 찾았다가 오십견과 유사한 증상이 보인다는 뜻밖의 진단을 받게 되었다.
흔히 오십견이라고 알려져 있는 어깨 질환의 정확한 명칭은 동결견 혹은 유착성 관절낭염이다. 50대 전후 환자들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 50대 이하 청장년층 환자들도 증가하는 추세다.
실제로 대한견주관절학회가 전국 11개 대학병원에서 오십견 환자 137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대가 45.7%로 가장 많았으나 30~40대 환자도 23.4%에 달했다.
유착성 관절낭염은 어깨를 감싸고 있는 관절막에 염증이 생겨 관절막이 서로 달라 붙거나 틈이 좁아지는 것으로 발병 원인은 다양하나 잘못된 자세와 생활 습관이 어깨 질환을 악화 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 |
특히 쉬는 시간이나 여가 시간에도 습관처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책상에 앉아 공부하거나 일을 하는 사람들은 어깨가 늘 경직되어 있는데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어깨에 긴장이 지속되기 때문.
의자에 비스듬히 기대거나 누워서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것도 어깨에 무리를 준다. 짧은 시간은 괜찮지만 보통 영화를 보거나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는 등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자연히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황은천 원장은 “척추 관절 질환은 복합적인 문제 보다는 잘못된 생활 습관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며 “휴대폰이나 컴퓨터를 할 때 집중하면 몸을 잘 움직이지 않으면서 목과 어깨 등의 근육을 긴장 시키는데, 만약 흐트러진 자세를 오래 유지하면 어깨 뿐만 아니라 목과 허리 질환이 생길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어깨가 아픈 증상이 처음에는 미미하나 점차 심해져 팔을 올리거나 옷을 갈아입는 등 일상 생활에서도 불편함이 생길 때 어깨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젊은 층은 오십견을 앞당기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회전근개 염증이나 충돌증후근 등 다양한 어깨 관절 질환이 생길 수 있다.
어깨 질환을 예방하고 어깨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소 바른 자세 및 스트레칭이 중요하다. 따라서 어깨 관절이 과도하게 경직되지 않도록 틈틈이 양쪽 어깨를 스트레칭 해주거나 가볍게 앞 뒤로 돌리면 좋다.
또한 통증 초기에는 따뜻한 팩이나 온탕으로 근육을 이완 시켜주면 도움이 된다. 그럼에도 통증이 지속되면 증상 및 상태에 따라 운동치료나 약물치료 등을 시행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