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향한 관심…싱글비타민과 프로바이오틱스로 집중
강인귀 기자
12,322
공유하기
글로벌 정보분석기업 닐슨코리아는 최근 대형마트 판매 데이터와 광고 시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일반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성장 트렌드를 11일 발표했다.
▶ ‘건강한 광고’가 뜬다
장기화 되는 내수 침체 속에 대표적인 내수 시장 중 하나인 국내 광고시장이 2014년에 전년 대비 2.9%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반의약품 광고 시장은 2013년 6,732억 원에서 2014년 9,372억 원으로 39.2%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반의약품 광고 중 상위 10가지 제품을 살펴보면, 특정 질환 치료를 위한 의약품보다는 ‘아로나민 골드’, ‘박카스’, ‘고려 은단 비타민C 1000’ 등과 같이 피로회복이나 컨디션 유지를 위한 제품들이 40%를 차지했다.
닐슨코리아 측은 이를 최근 소비자들이 주체적으로 삶의 질 향상과 질병 예방을 위해 노력하는 ‘셀프 메디케이션’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대형마트 내 새로운 대세, ‘프로바이오틱스’
대형마트 내 건강기능식품 판매가 2014년에 전년 대비16% 성장한 가운데(판매액 기준), 특히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성장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바이오틱스의 대형마트 내 판매액은 2014년에 전년 대비 249.1% 증가하는 ‘세 자릿 수 성장’을 기록했으며, 발포 비타민(+84.1%)과 싱글 비타민(+35.6%)도 각각 전년 대비 두 자릿 수 성장을 기록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2011년 약 400억 원 대 규모(총생산액 기준)이던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이 2014년에는 1천 억 원이 넘는 규모로 성장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는 가운데, 새롭게 대형마트 시장에 진입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브랜드 수가 2013년 14개에서 2014년 27개로 크게 늘어났다.
소비자들은 일상 생활 속 자주 찾는 대형마트에서 점점 더 많은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성장은 대형마트 내 건강기능식품 전체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닐슨코리아 소비재 및 헬스케어 그룹 이두영 이사는 “대형마트 안에서 프로바이오틱스 성장은 신제품 출시에 의해 주도되는데, 주로 CJ, 대상, 롯데, 동원F&B와 같은 식품 대기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며, “닐슨코리아는 광고시장과 유통시장 트렌드 뿐만 아니라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변화까지 짚어냄으로써, 식품 및 헬스케어 관련 업계의 질적인 발전에 기여해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미지제공=닐슨코리아>
▶ ‘건강한 광고’가 뜬다
장기화 되는 내수 침체 속에 대표적인 내수 시장 중 하나인 국내 광고시장이 2014년에 전년 대비 2.9%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반의약품 광고 시장은 2013년 6,732억 원에서 2014년 9,372억 원으로 39.2%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 |
닐슨코리아 측은 이를 최근 소비자들이 주체적으로 삶의 질 향상과 질병 예방을 위해 노력하는 ‘셀프 메디케이션’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대형마트 내 새로운 대세, ‘프로바이오틱스’
대형마트 내 건강기능식품 판매가 2014년에 전년 대비16% 성장한 가운데(판매액 기준), 특히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성장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바이오틱스의 대형마트 내 판매액은 2014년에 전년 대비 249.1% 증가하는 ‘세 자릿 수 성장’을 기록했으며, 발포 비타민(+84.1%)과 싱글 비타민(+35.6%)도 각각 전년 대비 두 자릿 수 성장을 기록했다.
![]() |
소비자들은 일상 생활 속 자주 찾는 대형마트에서 점점 더 많은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성장은 대형마트 내 건강기능식품 전체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닐슨코리아 소비재 및 헬스케어 그룹 이두영 이사는 “대형마트 안에서 프로바이오틱스 성장은 신제품 출시에 의해 주도되는데, 주로 CJ, 대상, 롯데, 동원F&B와 같은 식품 대기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며, “닐슨코리아는 광고시장과 유통시장 트렌드 뿐만 아니라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변화까지 짚어냄으로써, 식품 및 헬스케어 관련 업계의 질적인 발전에 기여해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미지제공=닐슨코리아>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