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고식스 사이판점.. 현지화 전략 1년만에 핫플레이스로 자리잡아..
강동완 기자
4,122
공유하기
지난해 1월 오픈한 망고식스 사이판점이 일매출 800만원 이상을 기록하며 핫플레이스로 자리잡고 있다. 망고식스가 사이판에서 주목받는 이유는 블루오션 개척과 입소문을 통한 한류 효과다.
망고식스 사이판점은 섬 내 첫 한국 프랜차이즈 카페다.
이미 글로벌 브랜드 맥도날드, 피자헛, 서브웨이, 타코벨 등이 있지만,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해 추출한 원두커피, 스무디나 빙수 등 기호에 따라 즐길 수 있는 생과일 메뉴, 매뉴얼을 갖춰 매일 신선한 빵과 다양한 디저트를 제공하는 매장은 망고식스 사이판점이 유일하다.
한류도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중국, 말레이시아 등과 달리 K팝, 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를 통한 유입이 아니라 각 국에서 온 관광객을 통해 구전으로 한국이란 브랜드가 현지인에게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다.
망고식스 사이판점을 운영하는 안선문 점주는 “매장 마련, 현지화 마케팅 전략 등 준비로 1년여 기간 공을 들였다”며 “한국의 높아진 디저트 문화와 한류, 현지와 조화로운 브랜드 특성이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고 말했다.
안 점주는 본사와 협의해 한국, 중국 등 기존 망고식스 매장의 대표 메뉴인 ‘레몬에이드(Lemonade)’를 현지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물량 수급을 고려해 ‘라임에이드(Limeade)’로 전환해 히트상품으로 만들었다. 빙수도 영어식 표현 ‘Shaved Ice’ 대신 ‘Bing-Soo’로 부르면서 한국 브랜드임을 내세우고 있다.
망고식스 강훈 대표는 “사이판은 연간 50만 이상의 해외 관광객이 다녀가는 허브 도시”라며,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한 교두보로 삼고 적극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망고식스 사이판점은 섬 내 첫 한국 프랜차이즈 카페다.
![]() |
▲ 망고식스 사이판점 내부 (제공=망고식스) @머니위크MNB, 유통 · 프랜차이즈 & 창업의 모든 것 |
이미 글로벌 브랜드 맥도날드, 피자헛, 서브웨이, 타코벨 등이 있지만,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해 추출한 원두커피, 스무디나 빙수 등 기호에 따라 즐길 수 있는 생과일 메뉴, 매뉴얼을 갖춰 매일 신선한 빵과 다양한 디저트를 제공하는 매장은 망고식스 사이판점이 유일하다.
한류도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중국, 말레이시아 등과 달리 K팝, 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를 통한 유입이 아니라 각 국에서 온 관광객을 통해 구전으로 한국이란 브랜드가 현지인에게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다.
망고식스 사이판점을 운영하는 안선문 점주는 “매장 마련, 현지화 마케팅 전략 등 준비로 1년여 기간 공을 들였다”며 “한국의 높아진 디저트 문화와 한류, 현지와 조화로운 브랜드 특성이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고 말했다.
안 점주는 본사와 협의해 한국, 중국 등 기존 망고식스 매장의 대표 메뉴인 ‘레몬에이드(Lemonade)’를 현지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물량 수급을 고려해 ‘라임에이드(Limeade)’로 전환해 히트상품으로 만들었다. 빙수도 영어식 표현 ‘Shaved Ice’ 대신 ‘Bing-Soo’로 부르면서 한국 브랜드임을 내세우고 있다.
망고식스 강훈 대표는 “사이판은 연간 50만 이상의 해외 관광객이 다녀가는 허브 도시”라며,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한 교두보로 삼고 적극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