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 힘 빠지고 손저림 잦으면 손목터널증후군 의심…원인은 반복적인 손목 사용
강인귀 기자
6,103
공유하기
'손목 터널 증후군, 손 자주 저리고 감각 무뎌지며 화끈거리는 증상'
손목 터널 증후군이라고도 불리는 수근관 증후군은 뼈와 인대가 있는 통로가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손끝으로 가는 신경이 자극을 받아 발생한다. 요즘 들어 흔한 신경 질환 중 하나로 손목 사용이 많은 주부들에게 많이 나타나며 환자 또한 늘고있는 추세이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진료 받은 인원을 조사한 결과 2009년 약 12만4000명에서 2013년 약 17만5000명으로 5년 동안 약 5만1000명(41%)이 증가했다.
성별로는 여성(78%)이 남성(22%)보다 4배 가량 더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중장년층에서 많이 나타났다.
노화를 비롯해 당뇨병이나 만성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는 환자에게도 흔하게 발생하나 주요 원인은 지속적인 손목 사용에 있다. 따라서 컴퓨터 사용이 많은 회사원이나 운동선수, 가사일로 반복적인 손목 사용이 많은 주부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구로예스병원의 김민수 원장은 “손목 터널 증후근이라 불리는 수근관 증후군은 초기 통증이 심하지 않아 방치하기 쉬우나 심해지면 통증 때문에 밤잠을 못 이루기도 한다”며 “만약 손이 자주 저리고 감각이 무뎌지는 등 손목 증상이 생기면 병원을 찾아 정확히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손가락이 화끈거리거나 손에 힘이 빠지는 증상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손목을 팔쪽으로 구부렸을때 손을 찌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고 증상이 심해지면 근력이 약해져 가벼운 물건도 들어 올리기 어려워진다.
초기에는 손목을 최대한 사용하지 말고 휴식을 취하면서 찜질이나 마사지 등을 하면 도움이 된다. 하지만 증상이 계속되면 약물 치료나 주사 치료 등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를 시행한다. 그럼에도 호전이 되지 않거나 통증이 심하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김민수 원장은 “지속적이고 반복되는 손목 사용이 가장 큰 발병 원인인만큼 손목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으나 가정 주부들은 육아나 집안일로 손목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은 불가피 하다고 호소한다”며 “예방을 위해 평소 손목 스트레칭을 자주 하고 무리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미지제공=구로예스병원>
![]() |
▲손이 자주 저리고, 손목 힘이 빠지면 손목터널 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이미지제공=구로예스병원) |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진료 받은 인원을 조사한 결과 2009년 약 12만4000명에서 2013년 약 17만5000명으로 5년 동안 약 5만1000명(41%)이 증가했다.
성별로는 여성(78%)이 남성(22%)보다 4배 가량 더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중장년층에서 많이 나타났다.
노화를 비롯해 당뇨병이나 만성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는 환자에게도 흔하게 발생하나 주요 원인은 지속적인 손목 사용에 있다. 따라서 컴퓨터 사용이 많은 회사원이나 운동선수, 가사일로 반복적인 손목 사용이 많은 주부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구로예스병원의 김민수 원장은 “손목 터널 증후근이라 불리는 수근관 증후군은 초기 통증이 심하지 않아 방치하기 쉬우나 심해지면 통증 때문에 밤잠을 못 이루기도 한다”며 “만약 손이 자주 저리고 감각이 무뎌지는 등 손목 증상이 생기면 병원을 찾아 정확히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손가락이 화끈거리거나 손에 힘이 빠지는 증상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손목을 팔쪽으로 구부렸을때 손을 찌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고 증상이 심해지면 근력이 약해져 가벼운 물건도 들어 올리기 어려워진다.
초기에는 손목을 최대한 사용하지 말고 휴식을 취하면서 찜질이나 마사지 등을 하면 도움이 된다. 하지만 증상이 계속되면 약물 치료나 주사 치료 등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를 시행한다. 그럼에도 호전이 되지 않거나 통증이 심하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김민수 원장은 “지속적이고 반복되는 손목 사용이 가장 큰 발병 원인인만큼 손목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으나 가정 주부들은 육아나 집안일로 손목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은 불가피 하다고 호소한다”며 “예방을 위해 평소 손목 스트레칭을 자주 하고 무리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미지제공=구로예스병원>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