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큰고니' 이동경로 밝힌다…GPS 부착 후 자연방사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동경로 규명을 위해 지난해 2월 구조되어 치료를 마치고 충청남도 서산의 간월호 상류에서 자연방사한 큰고니(천연기념물 제201-2호)에 ICT(정보통신기술) 기술을 접목한 첨단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했다고 23일 밝혔다.

큰고니의 이동경로 연구에 적용되는 기술은 국내에서 개발된 첨단 ICT 기술로, ‘GPS(위성항법장치)와 이동통신시스템 기반의 야생동물 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하여 큰고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게 된다.


이번에 방사된 큰고니는 지난해 2월 1일 충청남도 아산에서 탈진 증세로 구조된 1년생의 어린 큰고니 1마리이다. 이 큰고니는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치료와 회복을 마치고 그해 2월 20일 자연에 방사되었으나,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3월 13일 충청남도 보령에서 심각한 탈수 상태로 다시 구조되어 현재까지 집중 치료를 받아왔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이번 연구는 2회 이상 구조되어 치료 후 방사되는 큰고니와 구조된 경험이 없는 야생 큰고니 간의 이동경로를 비교연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학술적 의미를 가진다.


방사된 큰고니는 간월호에서 현재 월동 중인 다른 무리와 자연스럽게 어울릴 경우 이들과 함께 고향인 시베리아로 되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방사후 무리를 찾아가는 큰 고니
▲방사후 무리를 찾아가는 큰 고니
한편 국립문화재연구소는 큰고니의 이동경로가 확인되면 문화재청 지리정보시스템(GIS)인 ‘문화재 공간정보서비스’(http://gis-heritage.go.kr) 상의 ‘천연기념물 생태지도 서비스’를 통해 관련 정보를 국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