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곧 금통위 개최, '기준금리 1%시대'?
박성필 기자
5,188
공유하기
![]() |
한국은행. /사진제공=머니투데이 이동훈 기자 |
우선 금리 인하가 거세진 이유부터 살펴보면 이렇다. 지난 2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52% 올랐다. 담뱃값 인상 부분을 제외하면 마이너스다. 한은의 지난 2013~2015년 물가안정 목표가 2.5~3.5%인 점을 고려하면 저유가 등을 감안해도 적정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금리 인하 주장은 이 같은 상황에서 나온다. 디플레이션 위험으로 인해 경기부양이 가계부채나 금융안정 문제보다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여기에 각국의 통화완화 정책은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고민을 가중시킨다. 지난 1월 유럽중앙은행(ECB)의 전면적 양적완화 결정을 비롯해 스위스, 중국 등 올해에만 20개국 정도가 통화완화 정책을 내놨다.
반대로 시장에서는 금리 동결에 무게를 뒀다. 한국금융투자협회 설문조사에 따르면 채권시장 종사자들의 92.1%가 현재의 2.00%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은은 금리를 인하하면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더 많을 수 있는 상황이다. 기업들은 이미 사상 최대 규모의 사내유보금(현금)을 쌓아두고 있어 금리 인하가 투자 증가로 연결될 가능성이 낮다. 또 금리 인하는 자칫 가계부채의 악화를 가속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하고 필요로 하는 부분에 자금을 공급하는 정책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또한 최근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이 급상승하고 있는 부분도 금리 동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