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바다 문어, 다른 문어보다 '○○○○○' 많다
오문영 기자
7,553
공유하기
![]() |
'남극바다 문어'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남극바다 문어'
남극바다에서 사는 문어가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독일 알프레드 베게너 연구소의 마이클 올러만 연구팀은 남극 문어의 일종인 파렐리돈 카르코티(Pareledone charcoti)와 따뜻한 해역에 서식하는 문어 2종을 비교 연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극바다 문어는 특수한 순환계로 차가운 수온을 견딜 수 있다.
연체동물은 혈액 내에 혈청소라고 불리는 헤모시아닌(Hemocyanin)을 갖고 있어, 철 대신 구리를 산소 운반에 사용, 구리가 산소와 결합해 낮은 온도에서도 산소 전달을 원활하게 해준다.
헤모시아닌은 산소와 결합 전에 무색이지만 결합 후에 파란색으로 변한다는 특징이 있다.
남극 문어는 다른 지역에서 사는 문어보다 이 헤모시아닌의 혈중 농도가 적어도 40%가량 높았다. 이 헤모시아닌 농도가 높은 덕분에 남극 문어는 추운 바다에서도 따뜻한 바다에서도 생존이 가능했던 것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