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왕궁 발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18일 오전 경북 경주시 월성의 시굴조사 중 토기와 기와편 등이 발견된 장소를 공개하고 있다. /사진=뉴스1 <br />
 <br />
'신라왕궁 발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18일 오전 경북 경주시 월성의 시굴조사 중 토기와 기와편 등이 발견된 장소를 공개하고 있다. /사진=뉴스1


'신라 왕궁 발굴'

경주 월성 시굴 첫 조사에서 대규모의 건물터와 다량의 유물이 발굴됐다.

18일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12월12일 고유제를 시작으로 조사한 사적 제16호 '경주 월성' 중앙지역(5만7000㎡)의 시굴조사 성과를 공개하고 본격 발굴조사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약 50일간 진행된 시굴조사는 지하 매장구조의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자 표층부분을 발굴했다. 조사지역에서는 기단, 초석, 적심 등 건물지 6동과 담장 12기 등이 확인됐다.

현재까지 확인된 건물지와 담장의 흔적들은 유적 내 최상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삼국 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 전반에 걸친 토기와 기와들이 출토되는 것으로 볼 때 통일신라시대 월성의 마지막 단계의 모습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 중 정면 12칸, 측면 2칸의 3호 건물지(28m×7.1m)는 적심 위에 초석을 올렸고 담장과 배수로가 딸려있다. 유물은 고배, 병, 등잔, 벼루, 막새기와, 귀면기와, 치미 등 통일신라시대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연구소는 서울 풍납토성과 경복궁, 전북 익산 왕궁리유적, 강원 강릉 굴산사지 등 주요 국가 사적을 조사했던 베테랑 발굴 인력 100여명을 투입했다. 고고학계는 '단군 이래 최대의 발굴사업'이라는 표현까지 써 가며 흥분을 감추지 못할 정도로 높은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경주 월성 조사는 천년 고도 경주의 역사정체성을 규명하고 대통령 공약사항인 '경주 역사문화 창조도시 조성(왕궁 복원)'의 이행을 뒷받침한다는 두 가지 배경이 있다.

1914년 일제가 남벽 부근을 처음 파헤친 지 100년 만에 우리 손으로 실시한 최초의 내부조사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한편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내일(20일) 문화재 위원회 승인을 거친 뒤, 이르면 다음주부터 정밀 발굴 조사에 본격적으로 들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