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 송도사옥/사진=머니투데이 DB
포스코건설 송도사옥/사진=머니투데이 DB





포스코건설이 베트남 현지에서 협력회사에 리베이트를 요구했다는 주장이 나와 파장이 일고 있다.

포스코건설 협력사 한 임원은 19일 <머니위크>와의 전화통화에서 "2008년께 당사의 베트남 법인장이 포스코건설 A임원으로부터 리베이트 제의를 받았다"고 밝혔다. 포스코건설 협력사 측이 리베이트 제공 사실을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관계자는 "(대기업이 공사를 따낸 하청업체에) 공사비 기준 4~5% 수준의 리베이트를 요구하는 것은 일종의 관행이다. 협력사인 중소기업 오너도 이정도 리베이트를 준다고 해서 담당 직원을 질책하지 않는다"면서 "포스코건설 임원은 당시 우리측 법인장에게 공사수주금액의 1%의 리베이트를 요구했다. (관행 때문에) 당시 법인장도 리베이트를 주는 것에 대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포스코건설 공사수주 금액은 1000억원 안팎인 것으로 알고 있다. 이렇게 따지면 리베이트 규모가 10억원가량인데, 이 돈은 모두 (포스코건설 임원에게) 건네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재계 6위인 포스코 계열사 포스코건설이 이처럼 불법(건설산업기본법 위반) 행위에 가담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검찰은 포스코건설 100억원대 베트남 현지 비자금 조성 의혹에 대해 고강도 수사를 벌이고 있다. 최근 포스코건설 송도 본사는 물론 협력사 3곳을 압수수색에 나서기도 했다. 검찰은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 재임 5년간 7조원 넘게 투자한 인수·합병(M&A) 과정에서 비리행위가 있었는 지를 캐고 있다.

이런 가운데 재계 6위인 포스코의 건설계열사가 리베이트 강요 등 불법(건설산업기본법 위반) 행위를 주도했다는 증언이 나와 검찰의 칼끝이 정준양 전 회장 등 과거 포스코 수뇌부를 직접 겨냥할 것인지 주목된다. 실제로 검찰은 포스코건설 비자금이 과거 포스코그룹 임원이나 이명박 정부 시절 실세에게 전달된 것은 없는지 전방위 수사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현재 검찰이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어서 더 할말이 없다"고 짧게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