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학부모, 단기 방학 '찬성' 우세…맞벌이 부모 고민은 여전
강인귀 기자
4,512
공유하기
올해부터 학사 운영 다양화와 내실화를 위해 지역별, 학교별로 다양한 형태의 방학이 운영될 예정인 가운데, 지난 5월 관광주간 및 가정의 달을 맞아 대부분의 학교에서 ‘단기 방학’을 시행했다.
그런데 단기방학에 대한 학부모들의 의견은 긍정적인 대답이 우세하긴 했지만,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반대의 목소리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전문그룹 비상교육의 학부모 교육정보 커뮤니티 맘앤톡(www.momntalk.com)은 1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5월 1일부터 31일까지 한 달 간 초등 학부모 회원 94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53.3%(505명)은 ‘찬성한다’고 답했으며, ‘반대한다’는 응답은 38.2%(362명), ‘잘 모르겠다’는 8.4%(80)였다.
단기 방학의 효과는 40.1% ‘학습과 휴식의 균형’
그리고 단기 방학의 효과로는 가장 많은 40.1%(380명)의 응답자가 ‘학습과 휴식의 균형 및 학업 스트레스 완화’를 꼽았다.
이어 ‘2월의 형식적인 수업 관행 개선’ 18.4%(174명), ‘학습과 체험의 연계’ 16.2%(153명), ‘가정교육 강화 및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 확대’ 12.2%(120명),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 가능’ 7.1%(67명)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했다.
특히, 적지 않은 학부모들이 단기 방학을 통해 2월의 형식적인 수업 관행이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단기 방학 계획은 35.3% ‘가족 여행’
단기 방학 계획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35.3%(334명)가 ‘가족 여행’을 떠나겠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학습연계 체험학습’ 25.4%(241명), ‘진로탐색 프로그램 참여’ 12.2%(116명) 계획이 많았고, ‘독서 및 예체능 등 비교과 학습’ 6.7%(63명), ’교과학습‘ 6%(57명), ‘교내 자녀 돌봄 프로그램 참여’ 4.6%(44명), ‘없음’ 4.2%(40명) 순으로 조사됐다.
단기 방학의 기간이 보통 5~10일인 점을 감안할 때, 공부보다는 자녀와 정서적인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여행이나 체험학습 등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지난 5월 어린이날을 중심으로 단기 방학을 보낸 학부모들 역시 33.7%(319명)가 가족여행을 다녀왔다고 응답했다.
단기 방학 중 자녀 돌봄 주체는 65.8% ‘부모’, 우려되는 점은 ‘맞벌이 부부의 자녀 돌봄’
단기 방학 기간 동안 자녀는 누가 돌보는지 묻자, 다수의 응답자(65.8%, 623명)는 ‘부모’가 직접 돌본다고 답했다. 이는 학부모 커뮤니티의 특성상 응답자 가운데 전업주부의 비율이 높다는 점과, 방학 기간이 짧아 부모가 아이를 다른 곳에 맡기기보다 휴가를 내어서라도 함께 시간을 보내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부모 다음으로는 ‘조부모’가 9.8%(93명)였고, 돌봐줄 사람이 ‘없다’는 응답이 8.9%(84명)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학원 등 사교육 기관’ 7.1%(67명), ‘친인척’ 3.8%(36명), ‘돌봄교실 교사’ 2.9%(27명) 순이었다.
그러나 응답자들은 단기 방학의 시행으로 ‘맞벌이 부부의 자녀 돌봄’ 47%(445명)을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돌봄 주체로 다수의 응답자가 부모를 꼽은 가운데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은, 부모 가운데 한 사람도 시간을 내어 자녀를 돌보기 힘든 맞벌이 부부의 자녀 돌봄 문제가 사회적으로 심각하다는 인식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밖에 ‘여행 및 체험학습에 따른 경제적 부담’ 17.5%(166명), ‘자녀의 불규칙한 생활습관 형성’ 10.5%(99명), ‘새로운 사교육 등장’ 9.9%(94명), ‘형제간 학사일정 불일치’ 9.6%(91명), ‘학급 내 위화감 조성’ 2.3%(22명), ‘수업의 질 저하’ 1.3%(12명)가 우려된다고 답했다.
가장 선호하는 방학 유형은 38% ‘2월 등교 최소화형’
교육부가 제시한 4가지 방학 유형 가운데 초등 학부모들이 가장 선호하는 유형은 ‘2월 등교 최소화형’ 38%(36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단기 방학의 효과에서도 언급했듯이, 2월을 형식적인 수업 관행에서 벗어나 새 학년을 준비하기 위한 시간으로 보내는 것이 더 유익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다음으로 ‘봄, 가을 단기방학형’ 21.8%(206명), ‘매월 1~2일 단기체험형’ 16.1%(152명), ‘혼합형’ 15.6%(148명) 순으로 선호했다.
안경영 맘앤톡 총괄 책임자는 “학부모들은 단기 방학의 시행으로 자녀의 돌봄 문제를 가장 걱정하고 있다”며 “맞벌이 가정에서 홀로 방치될 아이들을 위한 대책이 보완되고 유형별로 적절하게 운영된다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제공=비상교육>
그런데 단기방학에 대한 학부모들의 의견은 긍정적인 대답이 우세하긴 했지만,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반대의 목소리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전문그룹 비상교육의 학부모 교육정보 커뮤니티 맘앤톡(www.momntalk.com)은 1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5월 1일부터 31일까지 한 달 간 초등 학부모 회원 94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53.3%(505명)은 ‘찬성한다’고 답했으며, ‘반대한다’는 응답은 38.2%(362명), ‘잘 모르겠다’는 8.4%(80)였다.
단기 방학의 효과는 40.1% ‘학습과 휴식의 균형’
그리고 단기 방학의 효과로는 가장 많은 40.1%(380명)의 응답자가 ‘학습과 휴식의 균형 및 학업 스트레스 완화’를 꼽았다.
이어 ‘2월의 형식적인 수업 관행 개선’ 18.4%(174명), ‘학습과 체험의 연계’ 16.2%(153명), ‘가정교육 강화 및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 확대’ 12.2%(120명),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 가능’ 7.1%(67명)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했다.
특히, 적지 않은 학부모들이 단기 방학을 통해 2월의 형식적인 수업 관행이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단기 방학 계획은 35.3% ‘가족 여행’
단기 방학 계획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35.3%(334명)가 ‘가족 여행’을 떠나겠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학습연계 체험학습’ 25.4%(241명), ‘진로탐색 프로그램 참여’ 12.2%(116명) 계획이 많았고, ‘독서 및 예체능 등 비교과 학습’ 6.7%(63명), ’교과학습‘ 6%(57명), ‘교내 자녀 돌봄 프로그램 참여’ 4.6%(44명), ‘없음’ 4.2%(40명) 순으로 조사됐다.
단기 방학의 기간이 보통 5~10일인 점을 감안할 때, 공부보다는 자녀와 정서적인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여행이나 체험학습 등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지난 5월 어린이날을 중심으로 단기 방학을 보낸 학부모들 역시 33.7%(319명)가 가족여행을 다녀왔다고 응답했다.
단기 방학 중 자녀 돌봄 주체는 65.8% ‘부모’, 우려되는 점은 ‘맞벌이 부부의 자녀 돌봄’
단기 방학 기간 동안 자녀는 누가 돌보는지 묻자, 다수의 응답자(65.8%, 623명)는 ‘부모’가 직접 돌본다고 답했다. 이는 학부모 커뮤니티의 특성상 응답자 가운데 전업주부의 비율이 높다는 점과, 방학 기간이 짧아 부모가 아이를 다른 곳에 맡기기보다 휴가를 내어서라도 함께 시간을 보내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부모 다음으로는 ‘조부모’가 9.8%(93명)였고, 돌봐줄 사람이 ‘없다’는 응답이 8.9%(84명)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학원 등 사교육 기관’ 7.1%(67명), ‘친인척’ 3.8%(36명), ‘돌봄교실 교사’ 2.9%(27명) 순이었다.
그러나 응답자들은 단기 방학의 시행으로 ‘맞벌이 부부의 자녀 돌봄’ 47%(445명)을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돌봄 주체로 다수의 응답자가 부모를 꼽은 가운데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은, 부모 가운데 한 사람도 시간을 내어 자녀를 돌보기 힘든 맞벌이 부부의 자녀 돌봄 문제가 사회적으로 심각하다는 인식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밖에 ‘여행 및 체험학습에 따른 경제적 부담’ 17.5%(166명), ‘자녀의 불규칙한 생활습관 형성’ 10.5%(99명), ‘새로운 사교육 등장’ 9.9%(94명), ‘형제간 학사일정 불일치’ 9.6%(91명), ‘학급 내 위화감 조성’ 2.3%(22명), ‘수업의 질 저하’ 1.3%(12명)가 우려된다고 답했다.
가장 선호하는 방학 유형은 38% ‘2월 등교 최소화형’
교육부가 제시한 4가지 방학 유형 가운데 초등 학부모들이 가장 선호하는 유형은 ‘2월 등교 최소화형’ 38%(36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단기 방학의 효과에서도 언급했듯이, 2월을 형식적인 수업 관행에서 벗어나 새 학년을 준비하기 위한 시간으로 보내는 것이 더 유익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다음으로 ‘봄, 가을 단기방학형’ 21.8%(206명), ‘매월 1~2일 단기체험형’ 16.1%(152명), ‘혼합형’ 15.6%(148명) 순으로 선호했다.
안경영 맘앤톡 총괄 책임자는 “학부모들은 단기 방학의 시행으로 자녀의 돌봄 문제를 가장 걱정하고 있다”며 “맞벌이 가정에서 홀로 방치될 아이들을 위한 대책이 보완되고 유형별로 적절하게 운영된다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