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고소득층 소득 '쑥쑥', 중하위층 '찔끔'
배현정 기자
2,532
공유하기
고소득층의 소득증가율이 중산층보다 2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소득상위 1만명은 2013년 한해에 1인당 17억원씩 벌어들였다.
국회 기획재정위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오제세 의원은 국세청에서 ‘2008∼2013년 통합소득 100분위(1분위당 14만9030명)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2013년 기준 중산층에 해당하는 소득 상위 40% 이상∼41% 미만 구간의 1인당 평균소득은 3340만원으로 5년 전인 2008년의 3130만원보다 6.5%(210만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득상위 30∼31% 구간에선 7.8%(3910만원→4210만원), 50∼51% 구간에서는 6.4%(2500만원→2660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저소득층에 해당하는 80∼81% 구간에서의 증가율은 비교적 높은 9.1%(1130만원에서 1230만원)로 나타났다.
반면에 최상위인 1%의 1인당 평균소득 증가율은 14.0%(3억3190만원→3억7840만원)로 중산층 소득 증가율의 2배 수준이다. 상위층 10∼11% 구간의 증가율도 12.8%(6630만원→7480만원)에 달한다.
오제세 의원은 "전 계층의 소득증가율이 고르게 올라야 소비활성화를 통한 내수경제 침체를 극복할 수 있는 등 국민경제의 선순환구조가 정착될 것”이라며 부의 양극화를 우려했다.
![]() |
국회 기획재정위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오제세 의원은 국세청에서 ‘2008∼2013년 통합소득 100분위(1분위당 14만9030명)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2013년 기준 중산층에 해당하는 소득 상위 40% 이상∼41% 미만 구간의 1인당 평균소득은 3340만원으로 5년 전인 2008년의 3130만원보다 6.5%(210만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득상위 30∼31% 구간에선 7.8%(3910만원→4210만원), 50∼51% 구간에서는 6.4%(2500만원→2660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저소득층에 해당하는 80∼81% 구간에서의 증가율은 비교적 높은 9.1%(1130만원에서 1230만원)로 나타났다.
반면에 최상위인 1%의 1인당 평균소득 증가율은 14.0%(3억3190만원→3억7840만원)로 중산층 소득 증가율의 2배 수준이다. 상위층 10∼11% 구간의 증가율도 12.8%(6630만원→7480만원)에 달한다.
오제세 의원은 "전 계층의 소득증가율이 고르게 올라야 소비활성화를 통한 내수경제 침체를 극복할 수 있는 등 국민경제의 선순환구조가 정착될 것”이라며 부의 양극화를 우려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