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쇼핑/사진=이미지투데이
온라인쇼핑/사진=이미지투데이
온라인 쇼핑사이트에서 옷을 판매하는 의류업체들이 사이즈를 제각각 표시해 소비자 혼란을 야기시킨다는 지적이 나왔다. 같은 호칭이라도 실제 치수는 천차만별. 심지어 대기업 제품조차 정부가 정해 놓은 'KS규격'을 지키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20일 소비자문제연구소 컨슈머리서치에 따르면 LF, 세정, 신원, 제일모직, 코오롱FnC 등 주요 의류업체 5곳의 24개 브랜드 40가지 남·여성복의 사이즈 표기와 실제 치수를 조사한 결과 비교적 통일된 규격을 유지한 남성복과 달리 여성복의 편차가 컸다.

이번 조사는 디자인 특성에 따른 변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콘셉트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셔츠와 바지, 기본스타일의 스커트 등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결과 여성 의류는 5개사 10개 제품의 호칭표시와 치수가 제각각이었다. 제일모직 빈폴, LF 헤지스, 세정 올리비아로렌·앤섬은 블라우스나 스커트의 크기를 KS규격대로 가슴둘레 ‘90’ 또는 허리둘레 ‘67’로 표시했다. 반면 비슷한 크기의 제품을 제일모직 구호, 신원 베스띠벨리·SI·비키는 ‘55’로 소개했다.

‘55’ 표기 방식은 1981년 당시 20대 여성의 평균 신장(키 155cm), 허리둘레(25인치) 등을 기준으로 만든 것으로, 현재 ‘KS의류치수규격’에 해당하지 않는 표기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관행으로 아직 ‘44·55·66’ 등을 계속 쓰고 있다.


코오롱FnC 커스텀멜로우·럭키슈에뜨 등은 ‘36(S)’, 수입품 LF 질스튜어트는 ‘00S’ 로 표시했다. 기본적으로 KS규격의 하나인 ‘S-M-L-XL’을 따른 것이지만, 다소 생소하게 변형된 호칭이다.

같은 호칭이라도 실측 치수에서 차이가 컸다. 같은 신원의 브랜드인 베스트벨리, SI의 ‘55’ 셔츠 가슴둘레는 각각 86cm, 108cm로 22cm나 차이가 났다. ‘90’ 호칭 제품들끼리 비교해도 4~5cm 정도 실측 사이즈가 달랐다.


스커트 역시 셔츠처럼 호칭이 브랜드별로 달랐다. 신원 베스띠벨리의 55제품이 68cm로 가장 작고 제일모직 구호제품이 76.2cm로 가장 커 제품간 차이가 8.2cm나 됐다. LF여성 의류에는 아예 실측사이즈가 표기되지 않았다.

이에 비해 남성 옷들은 대부분 ‘KS의류치수규격’에 맞춰 ‘가슴둘레 100’, ‘허리둘레 82’ 등 신체 치수 기준의 표기 방식을 따르고 있었다.

의류업체 관계자는 “브랜드마다 추구하는 패션 콘셉트가 다르고 매년 유행하는 스타일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사이즈라 하더라도 다를 수 있어 실측 사이즈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며  “44·55·66 호칭의 경우 아직 이 표기에 더 익숙한 소비자들도 많아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컨슈머리서치 최현숙 대표는 “온라인으로 의류 구매가 많아지면서 브랜드마다 사이즈가 크게 달라 반품 민원이 늘고 있는 추세”라며 “KS규격 사용과 함께 사이즈를 정확하게 하는 시스템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