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D-100] 수능 VS 대학별고사, 시간 안배는?
합격 확률 높이는 효율적인 학습 전략 #3
강인귀 기자
2,261
공유하기
수능이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이에 비상교육은 지금 시점에 수험생들이 챙겨야할 이슈들에 대해 정리해 발표했다.
수시모집만으로 대입 합격을 결정지을 수 없기 때문에 수시와 정시 그리고, 전형 자료별로 효율적인 시간 배분과 활용이 중요하다. 이에 세번째로 자신의 등급과 학습시기에 따른 학습비중을 소개한다.
수능 영역별 등급 수준에 따른 대학별고사 학습 비중은 수능 1~2등급의 경우, ‘학생부 20%+수능 60%+대학별고사 20%’ 내외, 수능 3~4등급의 경우에는 ‘학생부 30%+수능 60%+대학별고사 10%’ 정도가 일반적이다.
다만 여름방학 기간에는 학생부의 비중을 수능 준비에 포함시키고, 대학별고사는 별도의 학습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 |
▲학기중 수능 등급에 따른 학습 비중(예시) |
최근 주요 영역의 변별력이 낮아져 상대적으로 탐구 과목의 영향력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탐구 과목은 자신에게 유리한 과목을 1과목 선택해 여름 방학 중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
▲시기별 수능 영역별 학습 비중(예시) |
아울러 여름이라는 계절적 특성을 감안하여 건강관리에도 주의해야 한다. 일정한 수면 시간을 확보하고 깨어있는 낮 시간 동안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여름방학 이후에는 2016학년도 수능시험 응시원서를 작성하게 되는데, A/B형 유형과 탐구영역 선택과목은 여름방학 기간 동안의 학습 진도와 성적 향상 가능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이 때 수능 응시 영역과 탐구 선택 과목을 포함하여 특정 선택 과목의 지정 여부는 목표 대학 및 모집단위를 기준으로 사전에 확인해 두도록 한다.
<도움말=이치우 비상교육 입시평가연구실장>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