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표준시 변경, 평양 거리. /사진=뉴스1DB
북한 표준시 변경, 평양 거리. /사진=뉴스1DB
‘북한 표준시 변경’

북한이 광복 70주년을 맞은 15일부터 ‘평양 시간’을 표준시로 사용한다. 기존보다 30분 늦은 시간이다.

앞서 북한은 지난 7일 15일을 기해 한반도 중앙을 지나는 자오선인 동경 127.5도를 기준으로 ‘평양 시간’으로 명명해 표준시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은 이 같은 내용에 대해 “일제강점기 시절 빼앗긴 표준시간을 되찾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일본 도쿄 인근을 가로지르는 자오선인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하는 ‘동경시’를 표준시로 사용해 온 것이 일제 강점기 시절 취해진 조치라는 취지에서다.

북한 조선중앙TV는 이날 0시 평양시 중심부인 중구역 대동문의 연광정에서 타종의식을 갖는 모습을 실황중계로 보여주며 '평양 시간'의 적용을 본격적으로 알렸다. 연광정에는 평양시민들과 내외신 취재진들도 모여 타종행사를 지켜보는 모습이 중앙TV에 공개됐다.


이날을 기점으로 북한의 표준시는 우리 측과 30분의 차이가 나게 된다. 예컨대 우리 시간 정오에 북한의 시간은 오전 11시30분인 식이다.

이에 따라 개성공단의 출입경과 근로자 근무 시간, 남북 간 정례 판문점 통신(오전 9시~오후 4시)에 있어 행정적인 마찰이 예상된다. 다만 남북간 협의가 필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일정한 기간 동안 유예를 두며 우리 측과의 협의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우리 측은 북한의 표준시 변경 발표 이후 가장 시급한 개성공단 문제와 관련해 개성공단 관리위원회를 통해 북측에 협의를 제의했다. 그러나 북측은 이날까지 우리 측의 협의 요청을 “상부의 지시가 없다”며 묵살해왔다.

북한이 17일 전 추가적인 입장을 발표하지 않을 경우 우리시간으로 17일 오전 8시30분으로 예정된 일일 개성공단 첫 출경시간에 북측의 입장을 확인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