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치일 조기게양.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국치일 조기게양.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국치일 조기게양'

최근 8·29 국치일 조기 게양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다. 과거 상처로만 여기던 경술국치일을 이제는 민족자존을 되새기고 나라 발전과 국가 정신문화 개선의 자양분으로 삼자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된 것이다.


광복회 제주도지부는 1910년 경술년에 일본이 한·일 강제병탄조약을 선포한 '8·29 경술국치'의 치욕을 잊지 않기 위해 28일 오전 11시 제주항일기념관에서 추념 행사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제주시는 국권을 완전히 상실하고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게 된 경술국치일에 각 가정마다 조기를 게양하도록 권고했다. 대구, 강원, 충북, 전남 등 상당수 지자체도 조기게양 캠페인을 벌였다.


광복회 강원도지부는 이날 행사를 벌였다. 강원도 보훈회관에 모인 참석자 모두가 순국선열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찬 죽으로 끼니를 때웠다. 조기 게양과 잔 죽 먹기, 끼니 한 끼 거르기 행사는 전국에서 공식, 비공식적으로 진행됐다.

한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날부터 '한국사 지식 캠페인'을 시작하기도 했다. 서 교수는 "광복절, 3·1절 등은 국민이 잘 알고 있지만 경술국치와 같은 역사적으로 잊지 말아야 할 날은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 이번 캠페인을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